18일 국회에서 열린 ‘지역건설 경제활력 대책 당·정협의’에서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공개적인 비판이 제기됐다.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이번 대책을 두고 “현재 시의적절한 조치였다고 판단한다”면서도 “좀 더 구조적으로 (부동산 가격) 안정과 관련해, 서울 내 실수요자가 접근 가능한 주택이 공급돼야 한다. 정부에서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 대책을 마련할 것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공급 대책은 없어, 자칫 실수요자의 시장 진입까지 틀어막을 수 있다는 우려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왼쪽 세번째)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 세번째) 등이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역건설 경제활력대책 당정협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관석 당 정책위 수석부의장,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 이 원내대표, 조정식 당 정책위의장, 김 장관, 김철민 의원, 이원욱 원내수석부대표.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18/18bfd42c-8016-4da6-99ce-265a52453440.jpg)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왼쪽 세번째)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 세번째) 등이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역건설 경제활력대책 당정협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관석 당 정책위 수석부의장,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 이 원내대표, 조정식 당 정책위의장, 김 장관, 김철민 의원, 이원욱 원내수석부대표. [연합뉴스]
이번 대책으로 직격탄을 맞게 된 서울에 지역구를 둔 일부 의원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않았다. 서울 서북권의 한 의원은 “일단 급한 불은 꺼야 한다”면서도 “단기적인 정책은 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항상 집값을 틀어막으면 풍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초선의원도 “원래 살던 집을 팔아 대출을 끼고 새집을 구하던 이들은 당장 대출 규제에 막혀 막막할 것”이라며 “그런 사람들이 수만 명은 되지 않겠나”라고 했다.
![한 시민이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을 지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18/15b1b224-3221-405d-9ba9-d3f372b2d521.jpg)
한 시민이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부동산 중개업소 앞을 지나고 있다. [뉴스1]
서울 강남권 출마를 고려 중인 또 다른 원외 인사도 “중산층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것 같다”며 “강남의 15억짜리 주택을 내놓는다고 해서, 당장 그걸 살 수 있는 중산층이 얼마나 되겠나”라고 했다.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화 종합 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17일부터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에서 시세 15억원을 초과하는 초고가 아파트를 구입할 때는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다. 사진은 17일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단지.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18/dd7d9426-94bb-4316-8033-41d04e8032be.jpg)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화 종합 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17일부터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에서 시세 15억원을 초과하는 초고가 아파트를 구입할 때는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다. 사진은 17일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단지. [뉴스1]
윤 수석부의장은 이날 당·정 협의에서 “다주택자들이 집을 매물로 내놓을 것인가가 정책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며 그 시점을 “내년 상반기까지”라고 했다. 21대 총선 정국과 맞물린 기간이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총선 전에 부동산 가격이 안정된다고 하면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역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준호 기자 ha.junho1@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