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표
여권 “문 대통령이 사실상 확정”
이번주 인사추천위 의결 뒤 발표
이낙연 당 복귀 총선 역할 할 듯
당초 자유한국당이 무제한 토론인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 진행 방해)를 신청하는 등 국회가 파행 조짐을 보여 개각 시기에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청와대는 검증 절차가 마무리된 만큼 예정대로 발표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의혹으로 논란이 거듭될 경우 국정 난맥상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총리는 국회 동의를 거쳐야 한다. 여권 관계자는 “야당이 조국 전 장관도 낙마시킨 판에 최대한 물고 늘어지려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지난달 이 총리가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직·간접적으로 밝힌 직후부터 사실상 김 의원을 대상으로 단수 검증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이 김 의원을 낙점한 것은 후반기 국정 운영의 역점을 ‘경제 살리기’에 두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재정경제부에서 공직을 시작해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부총리와 사회부총리를 역임한 김 의원은 민주당 내 대표적 ‘경제통’ 인사로 꼽힌다.
공석인 법무부 장관에는 민주당에서 추천한 판사 출신의 추미애 전 대표가 확정됐다. 추 대표는 2017년 문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후보 시절 때 당대표를 지냈다. 당초 당대표까지 지낸 인사가 장관으로 가는 건 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그러나 당대표급으로 오히려 무게감을 높여 검찰개혁에 힘을 싣겠다는 게 문 대통령 구상으로 보인다.
위문희·하준호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