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무역협회와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0월 말까지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은 20만9034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9만3685t)보다 7.9% 늘었다. 1∼10월 기준으로 따지면 연간 수입량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던 2003년(20만8636t)보다도 더 많다. 이런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16년 만에 신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추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특히 10월 말까지 한국의 전체 쇠고기 수입량(41만5112t)에서 미국산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50.4%를 기록했다. 미국에서 광우병 발생이 확인되면서 수입이 전면 금지되기 직전인 2003년(68.3%) 이후 처음 50%를 넘어선 것이다.

지난해 미국산 농식품 수입액 첫 10조원 넘어 (서울=연합뉴스)
이는 미국산 한·미 FTA에 따라 가격이 낮아진 데다, 미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마케팅이 이어지면서 대형 마트를 중심으로 미국산 쇠고기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한미 FTA가 한·호주 FTA보다 몇 년 앞서 발효되면서 관세율 인하의 시차가 가격 격차로 나타난 게 영향을 미쳤다”면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광우병 우려도 적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우 수출은 제자리걸음…홍콩서 '제살깎아먹기'
한우 자체의 경쟁력은 나쁘지 않다. 홍콩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과 일본·미국 쇠고기를 평가한 결과 한국산 쇠고기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일본이 근소한 차이로 2위, 미국산은 3위로 나타났다. 한국산은 마블링과 육즙이, 일본산은 신선도가 뛰어나다고 소비자들은 답했다.
![롯데호텔은 2019년 추석선물로 친환경 인증 명품 한우 세트를 준비했다. [사진 롯데호텔]](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02/acfbbc8f-f007-4d93-ab30-a68e1f5af053.jpg)
롯데호텔은 2019년 추석선물로 친환경 인증 명품 한우 세트를 준비했다. [사진 롯데호텔]
손해용·박수련 기자 sohn.y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