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서종 인사혁신처장이 지난 9월 24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실에서 '범정부 균형인사 추진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부는 공공기관에 여성임원 최소 한 명 이상 임용, 장애인 의무고용률 준수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1/f6d8d7aa-11d9-49d8-a193-fb5255a85e32.jpg)
황서종 인사혁신처장이 지난 9월 24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실에서 '범정부 균형인사 추진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부는 공공기관에 여성임원 최소 한 명 이상 임용, 장애인 의무고용률 준수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뉴스1]
독일 공공부문의 중증장애인 고용률은 2009년 이후 6.3~6.6%를 기록하고 있다. 법정 의무고용률 5%를 크게 웃돈다. 정부의 정책 의지에 힘입어 장애인과 함께 일하는 문화가 정착된 것으로 뜻으로 풀이된다.
인사혁신처가 출범 5주년을 맞아 21일 여성·장애인·지역 인재 선발 및 육성에 대한 혁신안을 내놨다. 스웨덴과 독일처럼 공직 사회의 문턱을 낮추겠다는 게 핵심이다.

범정부 균형인사 계획.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중앙부처 직급별 여성공무원 현황.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장애인 채용도 아직 갈 길이 멀다. 중앙부처의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은 3.43%, 지방자치단체는 3.95%였다. 하지만 검찰청·교육부·국무조정실·총리비서실 등 7곳은 장애인 의무 고용률 3.2%에 미치지 못했다.

연도별 장애인 고용 현황.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정민 인사처 인사혁신국장은 “1989년 9급 공채 때 ‘장애인 구분 모집제’를 시작으로 국내에 균형 인사가 도입된 지 30년이 지났다”며 “균형 인사는 배제와 차별을 넘어 우리 사회가 포용국가로 가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더 이상 고용할당제가 필요 없는 스웨덴처럼 균형 인사를 실시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지키지 않을 경우 부처 평가에서 감점을 받고, 고용부담금까지 부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해리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