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서울 상암동 MBC에서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 종료 후 시간 관계상 받지 못한 질문지를 전달받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0/d3bcf1cf-ff72-47b9-9a29-fcd105314b1d.jpg)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서울 상암동 MBC에서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 종료 후 시간 관계상 받지 못한 질문지를 전달받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일본 안보에 있어 한국은 방파제 역할을 해주고 있다. 미국이 제공하는 안보 우산, 우리의 방파제 역할을 통해 일본은 방위 비용을 작게 들이면서도 자신들의 안보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당 대표들과의 만찬에서도 같은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번에는 직접 자세한 설명에 나섰다.
노신영 총리, 81년 일에 '안보경협자금' 요구
문 대통령의 이번 방파제론은 대내외적으로 정부의 지난 지소미아 종료 결정의 불가피성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읽힌다. 박인휘 이화여대 국제학부 교수는 “지소미아 종료 결정의 근본적 원인과 책임이 우리가 아니라 일본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외교부 건물 앞에서 진보대학생넷 회원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연장에 반대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0/65e29391-8181-4cb0-8d80-fc4547768bfb.jpg)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외교부 건물 앞에서 진보대학생넷 회원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연장에 반대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 '비용' 반복 강조
문 대통령의 방파제론은 일본이 안보 측면에서 많은 돈을 들이는 한국의 덕을 보고 있는데, 일본은 오히려 한국을 향해 안보 우려를 제기하며 수출 규제의 명분으로 삼았다는 비판이 담겨 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한국의 방위를 위해 굉장히 많은 비용을 쓰고 있고, 이를 통해 일본의 안보에도 도움 주는 것”이라며 ‘비용’을 반복적으로 강조했다.

"방파제론, 냉전적 사고…대중 외교엔 안 맞아"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객원연구위원은 “냉전적 사고에서 벗어나자는 화두를 던진 문 대통령이 전형적인 냉전적 시각인 방파제론을 제기한 것은 다소 모순적”이라며 “이는 우리가 일본을 중국과 러시아의 위협으로부터 막아주고 있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한국은 대중ㆍ대러 외교 측면에서는 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일본 재무장 합리화, 역공 우려도
박철희 서울대 국제대학원장은 “방파제론이 완벽하게 틀린 인식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지소미아를 이야기하면서 비용을 언급하는 것은 맥락상 맞지 않는 측면이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에서 비용 이야기를 하며 동맹을 압박하는 것은 미국이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또 “유엔사 후방기지 등 일본이 한국을 위해 하는 안보적 역할은 언급하지 않아 반쪽짜리 방파제론이 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의 국방 예산이 GDP의 1%도 되지 않는다는 지적은 역공의 우려가 있다. 일본의 국방비는 평화헌법에 의해 1%로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전직 외교관은 “이는 ‘그럼 일본이 한국 수준처럼 2~3%로 국방 예산을 증액하면 그때는 적절한 비용을 쓰는 것만 평가하고 일본의 군국주의화나 군사대국화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겠다는 뜻이냐’라는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