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수사·검찰 개혁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오른쪽부터)과 이호승 경제수석 등 청와대 참모진이 19일 서울 MBC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0/9b64f077-9ac1-4be0-95cd-c7ec2a239f53.jpg)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오른쪽부터)과 이호승 경제수석 등 청와대 참모진이 19일 서울 MBC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정치검찰 때문에 정의 많이 훼손
검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 이뤄야
국정농단 방지…공수처 꼭 필요”
![지난 9월 어린이보호구역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로 숨진 고(故) 김민식 군의 부모가 문 대통령에게 질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1/20/678af2a6-b86c-405b-8cf7-1150b531534d.jpg)
지난 9월 어린이보호구역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로 숨진 고(故) 김민식 군의 부모가 문 대통령에게 질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어 “(공수처는) 옛날 한나라당 시대에 이회창 총재가 1998년에 이미 제기했었고, 2002년 대선 때는 당시 이회창·노무현 후보가 함께 얘기했던 주제”라며 “권력형 비리에 대해 사정기관(검찰·경찰)이 제대로 역할을 못 해와 국정농단 같은 것들이 자꾸 생겨난 것”이라고 했다. 이 발언은 그러나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 후반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는 ‘공수처’가 아니라 ‘특검제’를 추진해서다. 이 전 총재는 독립 수사기관 설치는 공감하면서도 방식은 비상설 특별검사제를 주장했다. 이후 입법화 과정도 있었다. 앞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유사한 주장을 했다가 이 전 총재와 가까운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이 반박한 일이 있었다.
문 대통령의 검찰 개혁과 공수처 발언 직후 관련 질문이 또 나왔다. “자서전을 보면 대통령은 2009년 이전부터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알고 있었다. (임기) 2년 반이 지났는데 왜 이제 이슈가 되나. 이제까지 왜 안 한 것인지, 못한 것인지, 누가 못하게 한 건가”란 내용이다. 문 대통령은 이에 “이번 정부에서도 첫해부터 공수처와 검경수사권 조정 법안은 이미 다 제출됐다”며 “(관련 법안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라탔기 때문에 법안 처리 여부를 우리가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대통령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지지해 주는 국민의 힘이 중요하다. 검찰 개혁은 말하자면 쉽게 오지 않을 그런 좋은 기회를 맞이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파적 반대로 오랜 세월, 20년 넘게 공수처가 논의되고 있지만 아직 해결되지 못한 것”이라며 “검찰 개혁과 공수처 문제도 보수·진보의 문제가 아니다. (검찰 개혁과 공수처 설치는) 우리 민주주의를 좀 쉽게 우리가 흔히 쓰는 표현으로 글로벌 스탠더드로 맞게 발전시켜 나가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한영익·성지원 기자 hanyi@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