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50만9000명으로 지난해 10월보다 41만9000명(1.5%) 늘었다. 15~64세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5%포인트 오른 61.7%를 기록했다. 이는 10월 기준으로는 1996년(62.1%) 이후 23년 만에 최대치다. 실업률도 3%로 같은 기간 0.5%포인트 하락해 3대 고용지표가 모두 개선되는 모양새다.

사상 최대로 늘어난 고령층(60세 이상) 취업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는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만든 '초단기 노인 일자리'가 효과를 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어린이 등하교 도우미, 문화재 지킴이 등 대부분 근무시간이 짧고 임금이 낮은 일자리들이다. <중앙일보 11월13일자 1·4·5면 참조>
주당 근무시간 기준으로 살펴봐도 36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취업자는 전년보다 59만9000명(13.6%) 늘었고, 이 가운데 1~17시간 초단기 근로자가 33만9000명이나 늘었다. 반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되레 18만8000명(0.8%) 감소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노인 일자리 등 세금을 쏟아부은 단기 일자리 확대를 통해 인위적으로 일자리 지표를 개선한 결과”라며 “반면 한국 경제의 중심축인 30·40대 취업자 수는 25개월째 동반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용의 질이 좋아졌다고 보기는 힘들다”라고 평가했다. 실제 지난달에도 30대·4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각각 5만명, 14만6000명씩 줄었다.

연도별 한국 경제성장률.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대내외 수요가 위축되면서 수출과 투자가 부진하고, 내수와 소비도 위축됐다는 게 KDI의 분석이다. 다만 KDI는 “경제 관련 심리지수가 미약하게나마 개선되고 있고, 가계부채 증가 폭이 축소되는 가운데 대외건전성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경기 부진이 더 심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홍남기 "노인 일자리 부적절한 사례 최소화"
다만 그는 “일부 이를 악용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사람이 일을 하는 케이스도 없지 않을 것”이라며 “그와 같은 부적절한 사례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정부에 맡겨진 책무”라고 강조했다.
세종=손해용·허정원 기자 sohn.y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