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4/4ded9186-1968-46ec-8117-72b3bf540f84.jpg)
정의선. [연합뉴스]
현대차 투자 리얼타임 로보틱스는
1000분의 1초에 수천개 상황 인지
무단횡단·돌발킥보드 등에 대응
자율주행차 안전 위한 핵심기술
통신망 끊겨도 실시간 제어 가능
![현대차 그룹이 투자한 리얼타임 로보틱스는 실시간으로 각종 변수를 파악해 장애물을 인지하고 충돌을 회피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사진 리얼타임로보틱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4/8e61aa60-d5fc-4172-8ae4-b2661508a1fe.jpg)
현대차 그룹이 투자한 리얼타임 로보틱스는 실시간으로 각종 변수를 파악해 장애물을 인지하고 충돌을 회피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사진 리얼타임로보틱스]
리얼타임 로보틱스는 이를 ‘초고속 동작계획 수립’ 프로세스라고 부르는데 자율주행 기술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해 준다. 현재 자율주행 기술의 가장 큰 장애물은 사람의 돌발 행동이다. 신호를 위반하는 자동차, 자동차 전용도로에 들어오는 자전거나 킥보드, 무단횡단 보행자 등을 인지해 회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초고속 동작계획 수립’ 프로세스를 이용하면 밀리세컨드(1000분의 1초) 단위로 수천 가지 돌발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해 적확한 동작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게 리얼타임 로보틱스의 주장이다. 사람의 돌발 행동을 예측해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금까지 사람의 개입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이 가능하려면 5G 초고속 통신망에 끊김 없이 연결돼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지만, 리얼타임 로보틱스의 기술이 상용화하면 임베디드(내장) 프로세스를 통해 통신망이 끊겨도 실시간으로 동작 명령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봇 기술은 모빌리티 산업 전반으로 확산할 전망이다.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는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최종 배송단계)’를 위해 로봇 전문업체인 ‘어질리티 로보틱스(Agility Robotics)’와 함께 이족보행 로봇을 개발 중이다. 계단을 올라갈 수 있는 착용형 로봇이나 드론 역시 모빌리티 산업에 활발하게 적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동현 기자 offramp@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