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판매 중인 액상형 전자담배 제품.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3/277b18b6-500d-4f53-bc65-40507ebec522.jpg)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판매 중인 액상형 전자담배 제품. [뉴스1]
지난달 첫 대책 발표 후 한 달만에 2차 대응
문 대통령 지적 이후 긴급히 후속 대책 발표
미국 의심 환자 1479명, 국내서도 1명 확인
'보건 위협 시 판금' 등 법안 연내 통과 추진
주요 성분 분석은 다음달 완료, 통관도 강화
국회의원 법 개정 의지 등이 향후 남은 숙제
미국에서는 액상현 전자담배 사용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중증 폐손상 사례가 1479명 확인(115일 기준)됐고, 이 중 33명이 숨졌다. 국내에서는 지난 2일 액상형 전자담배를 사용한 30세 남성 A씨가 폐손상 의심 사례로 첫 보고됐다. A씨에 대한 전문가 1차 검토 결과 흉부영상(CT) 이상 소견, 세균·바이러스 감염 검사 '음성'으로 미루어 볼 때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과 관련된 폐손상 의심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나왔다. A씨에 대해선 제품 사용과의 연관성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한 조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그는 증세가 호전돼 퇴원한 상태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복지부는 이날 기획재정부ㆍ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 합동으로 액상형 전자담배에 대한 2차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 지적으로 청와대 긴급회의가 열렸고 곧 새로운 대책을 발표한다’는 중앙일보 기사가 나간 지 5일 만이다. 복지부는 지난달 20일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자제 권고와 중증 폐 질환 의심 환자 모니터링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조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국내서 폐 손상 의심 환자가 보고되면서 우려가 커졌다. 이 때문에 첫 대책 발표 후 한달여 만에 더 강력한 대응 방향이 공개됐다.
![지난달 미국 뉴저지 주의 한 상점 점원이 전자담배를 정리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3/55a6c4f3-7cf7-41a4-9a7d-eb4dc5e413fb.jpg)
지난달 미국 뉴저지 주의 한 상점 점원이 전자담배를 정리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이는 모두 국회에 계류 중인 법안 내용으로, 정부는 올해 내 통과를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한 복지부는 청소년 흡연 유발 등 공중 보건에 심각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제품은 판매금지, 제품회수 등이 가능하도록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에 나서기로 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이러한 규정을 근거로 과일 향 등이 첨가된 ‘가향’ 액상형 전자담배를 판매 금지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과 폐 손상과의 연관성 등에 대한 조사도 신속히 완료하기로 했다. 민ㆍ관 합동조사팀이 응급실과 호흡기내과를 찾은 환자 중 중증 폐 질환자 사례를 살펴보고 의심 사례를 찾아낸다는 계획이다. 식약처는 제품 회수, 판매 금지 등의 근거 마련을 위한 유해 성분 분석을 다음 달까지 완료한다. 액상에 들어있는 대마 성분(THC),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등 7개 주요 성분이 분석 대상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인체 유해성 분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전자담배 기기.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3/98b51d26-08e8-4fcf-82ee-bdfa04529506.jpg)
전자담배 기기. [중앙포토]
정부는 복지부 차관을 반장으로 하는 ‘액상형 전자담배 대응반’을 구성해서 이번 대책을 신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대응반에는 관계 부처 실장(1급)이 참여하게 된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중증 폐 손상 및 사망 사례가 다수 발생한 심각한 상황이다. 국민의 생명,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국회 계류 중인 담배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법률안이 조속히 처리될 필요가 있다. 정부도 이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국회의사당 전경.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23/fa5dfc8f-1271-4503-b410-7a4a8f99c550.jpg)
국회의사당 전경. [뉴스1]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