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상황 인식 드러내
소통과 협치의 국정 운영으로 전환해야
대통령의 안이하고 그릇된 상황 인식은 그제 종교 지도자들과의 오찬에서도 드러났다. 문 대통령은 “개혁을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공감하고 있던 사안들도 정치적 공방이 일어나면서 국민들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며, 분열의 책임이 야당에 있는 듯한 발언을 했다. 그러자 한 참석자로부터 ‘(대통령이) 반대 목소리를 경청해 통합 노력을 해 달라’는 취지의 당부를 들어야 했다.
대통령이 자꾸 민심과 유리된 발언을 되풀이하는 건 좋지 않은 신호다. 청와대 참모 등 주변부터 점검해 과감한 인적 개편을 통한 일대 쇄신을 서둘러야 할 때다. 문 대통령은 취임식 때 “주요 사안은 대통령이 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다”고까지 할 정도로 ‘소통하는 대통령’을 약속했었다. 그러나 임기 반환점(11월8일)을 앞둔 2년반 동안 문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세 차례뿐이었다. 자신이 ‘불통’이라고 비난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일곱 차례)과 별반 차이가 없다. 임기 후반에 표류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국정 과제를 해결해나가기 위해선 무엇보다 소통 및 야당과의 협치가 절실하다. 다행히 문 대통령은 “저 자신부터, 다른 생각을 가진 분의 의견을 경청하고 스스로를 성찰하겠다”며 “더 많이, 더 자주 국민의 소리를 듣고 국회와 함께하고 싶다”고 밝혔다. 국민소통과 협치에 바탕한 국정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