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초강력변수 등장
트럼프,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바이든 부자 뒷조사 압력 의혹
상원은 공화당 53, 민주당 47석
탄핵 부결 땐 민주당 역풍 가능성
트럼프 “내겐 좋은 일” 재선 자신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9/26/750dcfd5-4df5-4410-8ff4-16a42982c6aa.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② 우크라이나 스캔들은=트럼프는 7월 25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다. 이때 바이든 부자(父子)의 부패 혐의 조사를 요구했다고 WP·뉴욕타임스(NYT) 등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와 통화하기 약 일주일 전 우크라이나에 대한 자금 지원을 보류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정적의 비리를 캐기 위해 외국 정상을 압박하고, 미 의회가 승인한 자금까지 마음대로 집행을 미룬 행위를 민주당은 탄핵 사유인 권력 남용이라고 본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젤렌스키와의 통화에서 바이든을 언급한 자체는 시인했다. 23일에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3억9100만 달러(약 4688억원) 자금 지원을 보류한 것도 인정했다.
③ 탄핵론 급물살 탄 이유=그동안 민주당 내 진보 진영은 탄핵을 요구했지만, 펠로시 의장과 중도파는 반대해왔다. 여론과 공화당 지지를 얻지 못하는 탄핵 추진은 역풍을 맞을 수 있어서다. 최근까지도 트럼프 탄핵에 대한 당내 찬성 여론은 높지 않았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스캔들’이 분기점이 됐다. 23일 밤 민주당 초선 하원의원 7명은 WP 디지털판 오피니언란에 탄핵 절차 시작을 촉구하는 기고문을 공동으로 실었다. 이들의 출신 지역 7곳 가운데 4곳에서 지난 대선 때 트럼프가 이겼다. 트럼프에 우호적인 지역구에서 탄핵을 요구하는 마당에 펠로시 의장도 더는 물러설 곳이 없었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같은 날 워싱턴 국회 의사당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식적인 탄핵 조사 개시를 발표하고 있다. 펠로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자신에게 정치적 이익을 줄 조치를 취해달라고 부탁한 사실을 시인했다“고 말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9/26/3525492c-197e-47b9-834a-20bf15b88c8a.jpg)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같은 날 워싱턴 국회 의사당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식적인 탄핵 조사 개시를 발표하고 있다. 펠로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자신에게 정치적 이익을 줄 조치를 취해달라고 부탁한 사실을 시인했다“고 말했다. [EPA=연합뉴스]
⑤ 민주당도 불안하다=민주당은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면 트럼프 비위가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트럼프를 수사하면 할수록 바이든 부자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날 가능성도 있다. 바이든 아들인 헌터 바이든(49)은 2014년부터 올해 초까지 우크라이나 최대 민영 가스회사에서 임원으로 근무했다. 2015년 이 회사는 돈세탁과 횡령 혐의로 수사 선상에 올랐다. 이듬해 바이든 전 부통령은 당시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에게 “검찰총장을 해임하지 않으면 미국은 10억 달러 대출 보증을 하지 않겠다”고 압박했다고 한다. 트럼프가 “이건 트럼프 스캔들이 아니라 바이든 스캔들”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다.

미 대통령 탄핵 절차.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이후 상원이 탄핵 ‘심판’을 연다. ‘매니저’로 불리는 하원의원들이 검사를, 상원은 재판장 역할을 맡는다. 대통령은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다. 상원의원(100명)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탄핵이 확정된다. 그런데 상원은 공화당 53명, 민주당 47명으로 구성돼 있다. 공화당 의원 최소 20명을 설득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로썬 공화당 상원에서 반란표가 없는 한 탄핵안이 인용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워싱턴=박현영 특파원 hypar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