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훈(左), 장금철(右)
서,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 타진
북한 측 소극적 태도로 불발
북, 5월 이후 미사일 7번 발사
4월 남북 정보기관 수장의 접촉은 상견례 차원이었지만, 그럼에도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고 베트남 하노이에서의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여파를 진화하면서 정체된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탐색하려는 목적이었다는 게 소식통들의 설명이다.
김정은, 미국과의 직거래 염두에 둬…판문점회동 때도 남·북·미 회담 거부
문재인 대통령도 4월 15일 열린 수석 보좌관 회의에서 “장소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4차 정상회담을 하자”는 입장을 냈다. 문 대통령의 이런 입장을 서 원장이 직접 나서 북측에 타진한 셈이다. 하지만 북측은 당시 통전부장이 임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내부 상황(통일전선부 검열 및 인사)과 대외 관계(북·미 정상회담 결렬 파장) 등을 이유로 정상회담 개최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전직 고위 당국자는 “김정은 위원장은 4월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연말까지 미국의 바뀐 셈법을 기다리겠다’고 밝혀 이미 이때부터 미국과의 직거래를 염두에 둔 것 같다”며 “김 위원장이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을 했지만 북·미 관계 개선 없이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공단 재개 등 남북 협력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미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 한국과 선을 긋겠다는 방침을 정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4월 회동 때 남북 정상회담 타진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던 북한은 이후 대미 직거래 전략의 강도를 높였다. 정부는 지난 6월 30일 북·미 판문점 정상 회동 당시에도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북한 측의 완강한 거부로 성사되지 않았다고 한다. 단 북·미는 당초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양자 회동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협의했지만 남측 자유의집으로 장소를 옮기면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잠깐 만남’이 성사됐다는 후문이다.
남과 북은 통일부가 주축이 된 판문점 연락 채널 또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개성공단)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당국 간 공식 접촉에 앞서 사전 의견 조율이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국정원-통전부 간 비공개 채널을 가동해 왔다. 지난해 2월 평창 겨울올림픽을 기해 진행된 남북 정상회담(4·27) 물밑 접촉과, 같은 해 5월 함북 풍계리 핵시설 폭파 참관을 위한 한국 기자단의 직항로 방북 협의 때 국정원-통전부 라인이 작동했다.
정용수·백민정 기자 nkys@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