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영민
국민 삶 직결된 1인 GNI 증가액
이명박>문재인>박근혜 정부순
하지만 최근 경제 전문가들은 1인당 GDP보다 1인당 GNI(국민총소득)를 복리후생을 따질 때 주요 지표로 삼는다. 한 국가의 영토에서 창출한 부가가치의 총합을 인구로 나눈 것보다 국민이 1년간 나라 안팎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게 실제 삶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용어·지표의 이해』도 “GDP는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나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알아보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전체 국민소득의 크기보다는 1인당 국민소득의 크기와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1인당 국민총소득을 따질 때도 환율은 물론 통계를 측정하는 기준연도 등의 변수를 통제해야 정확한 값을 낼 수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런 변수를 제거하고 문재인 정부의 1인당 GNI는 연평균 118만5000원 늘었다. 박근혜 정부(88만600원) 때보다는 높지만 이명박 정부(127만1400원) 때보다는 적다고 한다.
권호·김기환 기자 gnom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