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보험 어때요

중대질병 전 단계 질환
만성질환·합병증 보장
보험금 전환 서비스도
고령 인구(65세 이상)도 2017년 707만 명에서 올해 769만 명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2020년에는 813만 명, 2022년 898만 명, 2024년 995만 명, 2025년엔 1051만 명으로 노인 1000만 시대에 접어들 전망이다.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가 되는 것이다.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노인복지 정책에 투입되는 국가예산도 증가하고 있다. 고령이 되면 암·치매·만성질환 같은 큰 병의 발병률이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이다.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암 발병률의 경우 60세부터 급증해 70~75세에 최고조에 이른다. 노인 치매도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의 조사 결과, 80세 이상 노인 4명 중 한 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도 급증하는 추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6년 고혈압·당뇨·간 질환 등 12개 주요 만성질환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1679만 명(전체 인구의 약 33%)에 이른다.
이 때문에 모든 문제를 혼자 감당해야 하는 1인 가구는 나이가 들수록 어깨가 무거워진다. 특히 독거노인은 ‘장수 리스크’에 대한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 늘어난 기대수명에 비해 건강하게 지내는 ‘건강수명’은 그리 길지 않아 의료비 부담이 만만치 않아서다.
교보생명 선뵌 신개념 CI보험
교보생명의 ‘New교보미리미리CI보험’도 그중 하나다. 이 보험은 암·뇌졸중·급성심근경색증·중증치매 등 중대질병(CI)을 보장하는 신개념 CI보험이다. CI 전 단계 질병은 물론 CI와 연관성이 높은 만성질환·합병증까지 보장을 확대했다. 완치율이 높아 CI에서 제외됐던 갑상샘암·중증세균성수막염 등 중증 뇌 질환과 루게릭병·다발경화증 같은 중증 질환도 보장한다. 뇌출혈·뇌경색증 등 중증 질환도 특약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
암·치매 등에 대한 보장도 강화했다. 중증치매·일상생활장해 등 간병비 부담이 큰 장기간병상태(LTC)는 주계약으로 보장하고 경도·중증도 치매도 특약을 통해 보장한다. 재진단암특약을 통해 암 전이·재발에 따른 치료비와 생활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당뇨·고혈압 등으로 인한 합병증(당뇨병 진단·인슐린 치료, 안 질환·실명, 족부절단)을 보장하는 특약도 신설했다. CI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중기 이상 만성 간·폐·신장 질환은 물론, 만성통증에 시달리지 않게 대상포진·통풍 등도 특약으로 보장한다.
보험금을 미리 노후자금으로
New교보미리미리CI보험 가입 나이는 만 15~60세까지다. 가입 시 해지보증형·80세보증형·해지미보증형 등 해지환급금 보증 여부를 선택 할 수 있다. 추가납입과 중도인출이 가능하고, 주계약 1억원 이상 가입 시 가입금액에 따라 2.5~3.5% 보험료 할인 혜택을 준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CI 질병에 대한 진단 기준이 까다로워 보장받지 못했던 부분을 폭넓게 보장받도록 개선했다”며 “큰 병이 되기 전에 작은 병부터 미리 관리하도록 보장을 추가했다”고 말했다.
신윤애 기자 shin.yuna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