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4일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왼쪽)와 러시아 이스칸데르 이동식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체, 우리 軍 탄도탄 조기경보레이더(그린파인)에 포착
아직 구체적인 발사체의 수량이나 비행거리, 제원 등 추가 정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북한은 평안북도 신오리 일대에 스커드와 노동미사일 기지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산하 전문포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가 올해 초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신오리 일대에는 연대 규모의 노동 1호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 배치돼 있으며, 조선인민군 전략군의 노동미사일 여단 본부가 자리 잡고 있다.
북한은 지난 4일 강원도 원산 인근에서 전술유도무기와 240㎜ 방사포, 300㎜ 대구경방사포 등 10~20여발을 발사한 바 있다.
당시 군 당국은 북한 발사체에 대해 최초 언론에 공지하며 ‘미사일’로 표현했다가 발표 40여분 뒤 추가 공지하면서 ‘발사체’로 수정했다.
합참은 “현재 우리 군은 북한의 추가발사에 대비하여 감시 및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군 당국이 북한이 쏜 발사체를 사실상 미사일로 규정지은 것은 지난 2017년 11월 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 발사 이후 1년 5개월여 만이다.
북한의 이날 발사체는 우리 군의 탄도탄 조기경보레이더(그린파인) 등에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평북 구성에서 2017년 5월 14일 신형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8회성-12형’ 1발 발사했다. 이어 그해 5월 21일에는 고체연료 엔진의 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북극성-2형을 쐈다.
미국은 지난달 17일 북한 국방과학원이 신형 전술유도무기 사격시험을 진행한 데 이어 4일에도 전술유도무기를 발사하자 대북 정찰·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RC-135W(리벳 조인트) 특수정찰기가 지난 8일 서울 등 수도권 상공에 나타났다. 미 공군의 주력 통신감청기인 이 정찰기는 지난달 18, 19, 29일에도 수도권 상공을 오가며 대북 감시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이어 이날에는 수도권과 인천 상공을 거쳐 서해 상공을 비행하는 미군 P-3C 해상초계기도 포착됐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