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북 “공동선언 맞게 사업 해나가야”
철수 사흘 만에 복귀 전례 없어
정부 “사무소장은 안 와 지켜봐야”
외교가에선 북측의 복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제재 철회 트위터가 있은 후 이틀 만에 이뤄진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달래는 신호를 보내자 북한이 태도를 누그러뜨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북한은 미 재무부의 대북제재 단행 소식이 알려진 지 약 6시간 만에 연락사무소에서 전격 철수했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23일 오전 트위터로 “추가적 대규모 제재의 철회를 지시했다”고 밝히자 월요일인 이날 인원 일부를 정상 출근시켰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소 통일안보센터장은 “주말 사이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이 나온 게 입장을 바꾼 결정적인 이유였을 것”이라며 “한국 정부에 대한 여론도 과도하게 부정적으로 흐르자 슬며시 연락사무소 부분 재가동으로 나왔다”고 분석했다. 북측이 철수를 통보했을 때 밝혔던 ‘상부의 지시’는 통상 김정은(얼굴) 국무위원장의 지시로 간주된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을 접한 뒤 김 위원장이 철수 지시를 다시 조정한 것 아니냐는 추론도 나온다. 한 전직 고위 당국자는 “한국 정부에 대한 불만 표출을 위해 연락사무소 철수 카드를 빼들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로 정세가 변화했다”고 평가했다.
단 북측이 ‘상부의 지시’를 손바닥 뒤집듯 거둬들인 것도 전례 없는 일이어서 북한의 속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찮다. 국책연구기관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지시로 여겨지는 ‘상부의 지시’가 사흘 만에 바뀐 자체가 석연치 않다”며 “정책 결정 과정에 혼선이 있었다면 북한 내부 사정도 정상적인 상황은 아닐 수 있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