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지난 1월 8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에 참석해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2/08/509aa91f-e1d6-43d7-8b6b-5ae07e314de6.jpg)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지난 1월 8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에 참석해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일본은 공식적으론 움직임을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국제사회로 확장하는 전략에 돌입한 모양새다. 일본 측은 공식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일본 당국자는 “8일로 30일 시한을 넘긴다고 해도 별다른 액션을 취할 계획은 현재로선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데드라인을 명시한 협의 요청서는 일본 정부 입장에선 일종의 ‘내용 증명’인 셈이어서 향후 국제법적 대응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아사히 신문은 일본 정부가 3월 초 중재위 회부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외교 협의 요청→중재위 회부→국제법정(ICJ) 제소의 단계를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1일 참의원 대표 질의에서 “국제 재판을 포함한 모든 선택지를 고려하겠다”고 답변한 것도 이 같은 기류를 반영했다는 것이다. 아베 총리는 지난 달 29일 국회 시정연설에선 한국을 일절 언급하지 않는 ‘코리아 패싱’ 전략을 취했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