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북한에 지원되는 타미플루를 실은 트럭이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를 지나고 있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1/23/8a27f983-1e9c-4da9-b86c-03f592b37ae1.jpg)
지난 2009년 북한에 지원되는 타미플루를 실은 트럭이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를 지나고 있다.[중앙포토]
22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미국 측에서 타미플루는 문제없지만, 이를 싣고갈 화물차량은 대북 제재에 저촉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지난 한미 워킹그룹회의에서 타미플루에 대한 제재 면제에 공감했으나 운송수단은 다른 문제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당초 전부는 타미플루 20만명분과 민간업체가 기부한 신속진단키트 5만개를 이번주 초 북한에 전달할 계획엉ㅆ으나 현재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절차와 관련해서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절차에 대한 논의가 끝나야 대북 인도·인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며 "지금 단계적으로 협의 중에 있다"고 전했다.
이번 치료제 지원은 지난해 9월 평양공동선언 남북 간 합의 사항으로, 남북은 11월 보건·의료 분과회담을 열어 인플루엔자 치료제 지원을 결정했다. 이어 지난해 말 한미 워킹그룹 회의에서 미국 측 공감을 얻으면서 타미플루 제공이 최종 확정됐다.
한편 정부가 북한에 타미플루를 전달하기는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 이후 10년 만이다. 당시 정부는 타미플루 40만 명분과 또 다른 독감 치료제 리엔자 10만 명분을 경의선 육로를 통해 북측에 제공했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