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지역의 다자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지난 28일 서울 포시즌즈 호텔에서 열린 ‘동북아평화협력포럼’에는 20세기 국제 정치계에서 '빅 피쉬(거물)'로 조명 받았던 인사가 등장했다.1995년 미국-베트남 국교 정상화의 산 증인인 레 반 방(71) 초대 주미 베트남 대사다.
베트남은 경제 모델이나 미국과의 수교 협상 경험 등에서 북한이 롤 모델로 삼는 나라다. 이용호 북한 외무상이 29일 부터 나흘간 일정으로 베트남 방문을 앞두고 있다. 베트남은 75년 종전 이후 미국의 금수조치(禁輸措置)로 압박 받았으나 80년대 ‘도이 머이’(개혁ㆍ개방) 정책으로 문호를 트며 급성장했다. 미-베트남은 2013년 포괄적 파트너십을 수립(2013년)했고 양국 무역 규모는 523억 달러(2016년 기준)에 달한다.
![미-베트남 수교 협상 후 베트남 외무상 판히엔과 미 국무성 동아태평양담당차관보가 악수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9/aee06b1b-a0d1-43ac-b74b-8516870e70c7.jpg)
미-베트남 수교 협상 후 베트남 외무상 판히엔과 미 국무성 동아태평양담당차관보가 악수하고 있다. [중앙포토]
인도적 교류를 끝까지 놓지 않음으로써 복잡다단한 정치·경제적 난제들을 풀어갔다는 것이다. 그는 "미측 집계에 따라 베트남 전에서 실종된 미군 1972명의 유해 발굴에 나섰고, 40년 간 145차례에 걸쳐 미군 전사ㆍ실종자 980구의 유해 및 유품이 전달됐다"며 "올해도 4차례 공동 발굴 조사를 실시하는 등 현재 진행형"이라고 말했다.
![2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2018 동북아평화협력포럼 개막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 줄 왼쪽에서 다섯번째가 방 전 대사.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11/29/77f6c7b5-0b81-4f31-a046-655e2bf6d68e.jpg)
2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2018 동북아평화협력포럼 개막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 줄 왼쪽에서 다섯번째가 방 전 대사. [뉴스1]
그는 “85년 무렵부터 지역 정세에 데탕트 무드가 조성되고 베트남의 진지하고 역동적인 노력으로 미국 전쟁포로·실종자가족연맹의 태도가 우리를 지지하는 쪽으로 완전히 바뀌었다"고 말했다. 빌 클린턴 정부는 94년 금수조치 해제를 결정했고 두 나라는 이듬해 정식 수교했다.
반 전 대사는 91년 워싱턴에 마련된 베트남의 첫 연락사무소 국장을 거쳐 95년부터 2001년까지 주미 베트남 대사를 지냈다. 2007년 베트남 외교부 차관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났다.
이유정ㆍ권유진 기자 uu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