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참석자들은 이례적으로 ‘충성’ 구호를 붙였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1807/28/1a9f6481-3895-4091-a541-73368165a45b.jpg)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참석자들은 이례적으로 ‘충성’ 구호를 붙였다. [뉴스1]
청와대 회의 관례 깨고 구호 붙여
문 대통령 입장 전 수차례 연습도
북핵 대응 3축체제 계획대로 추진
육·해·공 복무 18~22개월로 단축
장군 정원 76명 줄여 360명으로
복무 기간 단축에 따른 숙련병 부족 지적에 대해 국방부는 부사관과 유급 지원병 충원을 대책으로 내놓았다. 유급 지원병의 보수를 일반 하사와 동일한 수준으로 올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입영 인원 감소와 복무 기간 단축으로 현재 61만8000명 수준인 상비 병력도 2020년까지 50만 명 수준으로 조정된다.
국방부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해 온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킬체인(Kill Chain)·대량응징보복(KMPR) 등 3축 체계 구축 사업을 기존 계획대로 추진키로 했다. 최근 비핵화 협상 국면과 맞물려 일각에선 3축 체계 추진이 늦춰지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져 왔다.
문 대통령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한국군 주도의 지휘구조 개편도 추진된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 “우리 군은 스스로 책임지는 국방 태세를 구축해야 하고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은 그 출발”이라며 “우리 군이 진정한 작전통제권을 행사할 때 군의 자존감이 높아지고 국민의 신뢰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평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