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REPORT] 확 바뀐 교육 지형
고교 무상교육, 연 1조8000억 소요 예상
과거 정부에선 시·도교육청이 이 같은 무상 시리즈를 추진하려 하면 교육부가 번번이 발목을 잡았으나 현 정부에선 그럴 가능성이 없다. 교육부도 2020년부터 고교 무상교육 실시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2년 고교 무상교육이 완성되는 시점에선 총 1조 80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설세훈 교육부 교육복지정책국장은 “고교 무상교육 시행을 위해 올 하반기 정책 연구를 하고, 내년 법령을 개정한 다음 2020년 고1부터 무상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1806/16/8cc4900c-29ba-411a-9d32-43f2213f7e57.jpg)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렇다면 이번엔 교육부가 동의 권한을 포기할까. 최은희 교육부 학교혁신정책관은 “자사고나 외고 지정 취소 등 고교 체제 개편과 관련해 1단계 고교 동시선발, 2단계 자사고 등에 대한 평가, 3단계 공론화라는 단계적 절차를 밟겠다고 이미 밝혔다”며 “교육부의 동의권 포기 등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시·도교육감들이 추진하려는 고교 체제 전환을 위해 이미 길을 깔아 줬다. 올해 중3이 고교에 가는 입학전형에서 일반고·외고·자사고를 같은 기간에 선발(동시선발)하도록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서울의 경우 지난해까지만 해도 ‘외고→자사고→일반고’순으로 학생 선발이 이뤄졌으나 올해는 외고·자사고·국제고·일반고가 모두 같은 시기에 원서 접수(12월 10~12일)를 한다. 다른 지역도 원서접수 시기만 다를 뿐 동시선발은 마찬가지다. 외고·자사고에 지원했다가 떨어진 학생은 일반고에 배정되나 학교를 고를 수는 없다. 거주지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 배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외고·자사고 선택이 쉽지 않게 된다. 이런 여파로 부산국제외고는 내년부터 일반고로 전환하기로 했다. 서울의 한 외고 교장은 “일반고로 외고가 전환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은 부산국제외고 하나이나 올해 동시선발이 시행된 뒤엔 많은 학교가 전환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동시 선발, 평가로 외고·자사고 다단계 압박
자사고가 이 같은 동시선발의 여파를 피해나간다고 해도 내년엔 교육청의 평가가 기다리고 있다. 교육청이 평가 점수가 낮은 자사고를 지정 취소(일반고 전환)하더라도 교육부가 여기에 반대할 가능성은 낮다.
자사고는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5년 교육개혁위원회의 ‘5·31 교육개혁’안에 따라 생겨난 학교다. 당시 개혁안에 담긴 학교 선택권 강화 방안에 따른 것이다. 학생이 학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면 학교가 스스로 노력해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는 게 개혁안에 담긴 취지다. 경쟁과 수월성(秀越性·우수 학생들을 키워내는 교육) 가치가 담겨 있다. 개혁안에는 ‘무상교육’이란 개념도 없었다.
하연섭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는 “자사고는 1974년 시작된 고교 평준화체제에서 나타난 획일성·하향 평준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했다”며 “진보교육감 시대에서 경쟁과 수월성 가치가 퇴장하고 형평성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홍준 기자 kang.hongj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