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9월엔 포럼 참석차 방러 추진
김정은도 초청 받아 참가 가능성
북·중·러 정상회담 이뤄질 수도
푸틴 대통령의 국빈 자격 방중은 9일부터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이뤄지는 것이다. 베이징 소식통은 “중·러 정상회담에선 양자 현안 이외에 한반도 문제가 주요 의제로 회담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비핵화 해법에 대해 한목소리를 내며 미국을 견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중·러의 로드맵은 북한의 핵·미사일 시험 중단 및 한·미 대규모 연합훈련 중단→협상 개시→무력불사용·불침략·평화공존을 포함한 총체적 원칙 확정→핵 문제와 한반도·동북아 안전보장체제 구축의 순서로 구성돼 있다. 이는 중국이 제기해 온 ‘쌍중단’ 및 ‘쌍궤(투트랙) 병행’론과 러시아의 단계적 구상을 보태 가다듬은 방안이다. 문제는 두 나라의 방안이 북한의 ‘단계적·동시적’ 해법에 가깝다는 점이다. 과감한 비핵화 행동조치가 선행되어야 상응하는 보상조치를 할 수 있다는 미국의 입장과는 차이가 난다.
푸틴 대통령은 6일 공개된 발언에서 “북한의 안전보장 요구는 이해할 만한 것”이라며 “세부조치와 시행 기간을 명시하기는 어렵지만 관련국들이 여러 측면에서 참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평화체제 구축 논의에서 러시아도 참여해야 함을 시사한 말로도 들린다. 한편 아베 일본 총리는 미·일 정상회담(7일)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8~9일) 참석을 위해 6일 출국했다. 아베 총리는 출국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