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자료를 보며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6/04/81874885-9d16-4b75-998f-63ff9a791cf7.jpg)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자료를 보며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정진석 경제파탄대책특위위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서민경제 2배 만들기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6/04/b855377b-0412-4a75-8df6-7d2823a6dc49.jpg)
자유한국당 정진석 경제파탄대책특위위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서민경제 2배 만들기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김동철 원내대표도 이날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청와대는 통계청의 조사결과까지 부정하며, 요상한 숫자놀음을 벌이고 있다”며 “국민은 살림살이가 더 어려워졌다고 하소연하는데, 청와대는 ‘살기 좋아졌다’고 국민에게 강요하고 격”이라고 지적했다.
통계청은 지난달 24일 가계동향조사에서 소득 하위 20%(1분위)의 소득이 역대 최고치인 8% 감소했고, 양극화 지수 역시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최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이 “긍정 효과 90%”라며 최저임금 인상 정책을 두둔하고 나서자 논란이 커졌다.
![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이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소득분배 악화 원인 및 소득주도성장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개인기준 근로소득 증가율 표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6/04/0776a0a4-7b1f-48cf-87d9-5741aa3ec8fa.jpg)
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이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소득분배 악화 원인 및 소득주도성장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개인기준 근로소득 증가율 표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즉 ‘근로자 가구’와 ‘비근로자 가구’를 합친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한 통계청 자료와 달리 ‘근로자 가구’만을 대상으로 했기에 문 대통령의 발언은 전혀 잘못된 게 아니라는 취지였다.
![[그래픽] 청와대는 3일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가 90%"라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근거가 되는 통계 자료를 공개했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6/04/481ae9fa-b38a-48c8-8d87-f62bbc80f5b7.jpg)
[그래픽] 청와대는 3일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가 90%"라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근거가 되는 통계 자료를 공개했다.
그러면서 “이명박 박근혜 정부 때 경제성장률이 2%대였고, 그래서 저성장과 저고용으로 우리 경제의 활력을 잃었다고 했다. 그러다 이제 3%대로 회복하는 중”이라며 “미세한 곳에 주목하기보다는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 더 크게 봐달라”고도 요구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1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안토니오 구테헤스 UN사무총장의 전화통화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6/04/daa4888f-ea6e-4ad0-a5fa-2020d4ed24b4.jpg)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1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안토니오 구테헤스 UN사무총장의 전화통화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바른미래당 권성주 대변인도 “나라 경제가 거덜이 나건 말건 청와대는 오직‘대통령 말은 진리’에만 목을 매고 있다”고 꼬집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근로소득을 유지하는 사람의 소득이 높아지는 건 당연한 거 아닌가”라며“경제 전반을 논의하려면 단지 근로자만으로 제한하기보다 자영업자와 실업자 등을 포괄해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민우ㆍ안효성 기자 minwo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