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2/12/c99f353b-f52a-4ec6-94a1-f2dab2315a27.jpg)
[연합뉴스]
"내가 욕 좀 먹고 돈 좀 벌고…"
![[사진 SBS 비디오머그]](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2/12/effcafd8-e5d0-4a13-a490-521fec24830f.jpg)
[사진 SBS 비디오머그]
"솔직히 얘기해 부르는 게 값"
![[사진 KBS 방송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2/12/23572885-4664-4e46-9e2f-90500b255419.jpg)
[사진 KBS 방송 캡처]
최근 강릉지역 업소 400여곳 가운데 90%가 넘는 업소가 반값 숙박요금에 동참하는 등 자정 노력으로 하룻밤 숙박요금이 15만∼25만원까지 내리기는 했으나 연초부터 이어진 바가지요금에 대한 불만이 쌓여 예약문의가 뜸한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평창올림픽이 60여 일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바가지요금 논란으로 올림픽 숙박이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일각에서는 경강선 KTX 증편 운행이 필요하다는 여론도 확산해 공실이 염려된다"며 "바가지요금은 올림픽 이후 강원관광에도 부작용으로 작용할 수 있어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숙박요금이 자율요금제로 법적·제도적으로 강제하는 방법에 한계가 있지만, 점검과정에서 고액 숙박요금을 요구하거나 예약을 거부하는 업소는 위생·건축·소방·교통·농정 등 관련 규정 준수 여부를 특별히 살펴 집중지도에 나선다. 이를 통해 숙박요금 안정화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합리적인 가격대의 숙박업소 정보 등을 제공하는 올림픽 통합안내 콜센터와 강릉시 숙박업소 정보안내시스템도 운영에 들어갔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