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또 하나의 위험 요소
“큰손들 서로 직접 통화하며 연대”
담합·시세조종 땐 가격 급락 우려
제도권 화폐 아니라 제어 불가능
‘비트코인 대박’ 윙클보스 형제는
“20배는 더 오를 것” 전망하기도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2/11/8a4089b7-101b-4833-b224-4510e5515f6f.jpg)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비즈니스위크는 “비트코인 가격이 연초 대비 12배 이상 오른 상황에서 고래들이 비트코인을 대거 내다 팔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들의 행보가 다른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걱정거리가 됐다”고 전했다. 투자업계 전문가인 에런 브라운은 인터뷰에서 “고래들은 보유한 비트코인의 절반 정도를 내다 팔 의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심각한 건 고래들이 담합을 하거나 일부에게만 정보를 알려 시장을 흔들 수 있다는 점이다. 비즈니스위크는 “비트코인을 다량 보유한 투자자들은 서로 알고 지낸 지 오래된 사이이며, 초창기 비트코인이 비웃음의 대상일 때도 꿋꿋이 비트코인을 지켰다는 연대의식이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비트코인을 휴지 조각으로 만들 수도, 왕창 띄울 수도 있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투자업체 멀티코인캐피털의 카일 사마니 파트너는 “대형 투자자 수백 명은 서로 직접 통화하는 사이이고 이미 긴밀히 연락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2/11/86fb1536-accd-4b99-a6d4-91aaa08581ca.jpg)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블록타워캐피털의 아리 폴 공동창업자는 “큰손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가는 어떤 자산에 대해서도 가격 조종을 할 수 있다”며 “암호화폐는 생성 초기인 데다 투기적 성격이 내재돼 있기 때문에 조종이 더 극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마틴 머시킨 변호사는 “고래들의 계획과 의도가 무엇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반투자자는 깜깜이 투자를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반면 큰손들이 암호화폐를 내다 팔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한 투자자는 “고래들이 서로를 파괴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상식”이라고 말했다. 비트코인에 초기 투자해 거액을 벌어들인 것으로 알려진 윙클보스 형제는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앞으로 20배는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캐머런 윙클보스는 “비트코인이 결국은 금을 대신할 것이라고 본다. 현재 금 시장 시가총액이 약 6조 달러인데 비트코인 시총은 3000억 달러 안팎이므로 20배가량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캐머런과 카일 윙클보스 형제는 2013년 약 1100만 달러(약 120억원)어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대로 보유했다고 가정하면 현재 가치는 1조7000억 달러(약 1861조원)에 이른다.
박현영 기자 hypar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