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 백악관에서 아시아순방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유튜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6/22859e0d-3eb7-4154-ab29-e0ce9732fb18.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 백악관에서 아시아순방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유튜브]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쌍중단 철회 발언이 나온지 12시간 만에 중국 외교부는 16일 "중국이 제시한 쌍궤병행(雙軌竝行·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과 쌍중단이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라며 부인하는 논평을 냈다. 북한 협상 테이블에 불러들일 방안을 놓고 미·중 간 이견을 노출한 셈이다.
쑹타오 시진핑 특사 방북 하루 앞두고 이견 노출
트럼프 "실패한 핵동결 합의엔 보상 불가" 천명하자
중 외교부 "쌍중단이 가장 실현가능한 방안" 부인
"평화회담 조건 만드는 첫 발, 종착점 아니다"고도
북 테러지원국 지정 보류로 북ㆍ미 협상 가능성도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지난 9일 정상회담 성과를 설명하는 대목에서 “시 주석이 북한의 핵 무장은 중국에 중대한 위협임을 인정했다”며 “우리 두 사람은 과거 끊임없이 실패했던 이른바 동결을 위한 동결(Freeze for Freezeㆍ쌍중단)은 수용할 수 없다는 데 합의했다”고 공개했다. 또 “우리는 또 (북핵 해결을 위한) 시간이 고갈되고 있으며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남아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이 미ㆍ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핵ㆍ미사일 개발을 중단하는 대신 한ㆍ미 연합훈련을 중단하는 중국 외교부의 기존 대북정책인 ‘쌍중단’정책을 철회했다는 발언을 한 셈이다.
이날 백악관의 별도 순방성과 설명자료도 ‘쌍중단 불수용 합의’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완전하며, 검증 가능한, 불가역적인 한반도 비핵화 공약과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란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7~8일 한국 방문 성과에 대해선 그는 “미국 대통령으로선 25년 만에 처음 국회 연설에서 비뚤어진 독재정권이 세계를 핵 협박의 볼모로 삼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며 “중국ㆍ러시아를 포함한 모든 국가들에게 북한을 고립시키는 데 단결해 북한이 위험한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를 할 때까지 무역과 상업관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을 해제하기로 결정한 것을 환영하며, 최대한 대북 압박 캠페인을 함께 하기로 한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주한미군 주둔의 핵심 비용을 공평하게 부담하겠다는 그의 바람을 표시했다”며 “캠프 험프리스에선 미군과 한국군 지도자와 북한의 도발과 침략에 대비한 군사적 옵션과 준비태세를 논의했다”고도 설명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6/a4642b3e-a32a-4dc4-a854-288e4c229233.jpg)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중앙포토]
청 샤오허 런민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뉴욕 타임스에 “쑹 특사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과 정상회담에서 나온 매우 분명한 메시지를 가져갈 것"이라며 "북한에 비핵화 협상의 필요성을 설득하는 게 초점”이라고 말했다. 김성한 고려대 국제대학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북한의 1994년 제네바 합의나 2007년 6자회담 2ㆍ13 합의가 실패했기 때문에 핵ㆍ미사일 동결을 보상하진 않겠다는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쌍중단과 별도로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순방전 예고했던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을 않은 데 대해선 앞으로 미국과 북한과 직접 협상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방북 대학생 오토웜비어의 사망 이후 의회의 초당적 압박에도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에 재지정하지 않은 건 북한과 대화 채널이 완전히 닫혀 협상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우려한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오는 17일 쑹타오 특사의 방중 성과에 따라 북ㆍ미 간 직접 대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