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MA가 게시한 ‘2017 MAMA 공고’. ’여러분의 우려에 대해 우리도 공감하며 깊이 사과합니다. 현재 관련 웹 페이지는 철저히 삭제했습니다. 이후 우리는 더욱 근신해 관련 사건의 재발을 막겠습니다“는 내용이 담겼다. [MAMA 공식사이트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6/1b87febb-0185-4759-944a-c923881006a5.jpg)
MAMA가 게시한 ‘2017 MAMA 공고’. ’여러분의 우려에 대해 우리도 공감하며 깊이 사과합니다. 현재 관련 웹 페이지는 철저히 삭제했습니다. 이후 우리는 더욱 근신해 관련 사건의 재발을 막겠습니다“는 내용이 담겼다. [MAMA 공식사이트 캡처]
네티즌 투표 위해 홍콩·대만·마카오 국가처럼 적시
“하나의 중국” 원칙 어겼다고 강력 항의 받아
MAMA “깊은 유감…해당 페이지 삭제” 사과
중국 인터넷 매체인 관찰자망은 15일 “2017년 MAMA의 공식 투표 인터넷 페이지(중국어·한국어·일본어·영어)가 공공연히 홍콩·대만·마카오를 모두 국가로 처리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중국 네티즌의 항의를 불러 ‘MAMA는 중국에서 나가라’는 해시태그가 15일 웨이보(微薄·중국판 트위터)의 핫 키워드로 떠올랐다”고 보도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국가의 영토는 반드시 수호돼야 한다. 하나의 중국만 있을 뿐”이라며 분개했다.
관찰자망은 이 사건과 관련해 주최사인 CJ E&M에 연락했으나 회신을 받지 못했으며 페이지 수정도 없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이어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을 인용해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국과 미국을 포함해 모든 다른 국가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는 전제이자 정치기초”라며 “누구건 어떤 목적이건 만일 하나의 중국 파괴를 시도하거나 이를 거래의 카드로 삼겠다는 환상을 가진다면 중국 정부와 국민, 국제사회의 단호한 반대에 맞닥칠 것이며 결국은 돌로 제 발등을 찍는 결과가 될 것”이라며 협박성 발언도 불사했다.
![MAMA의 홍콩·대만·마카오 병기에 대해 중국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중앙의 공식 웨이보가 게시한 항의 글. [웨이보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6/d5daff7a-2162-438b-8896-1bfe9e39ee41.jpg)
MAMA의 홍콩·대만·마카오 병기에 대해 중국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중앙의 공식 웨이보가 게시한 항의 글. [웨이보 캡처]
CJ 중국 본사 관계자는 “어제 해당 사안을 인지한 CJ E&M 측이 심야에 문제 된 사이트를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며 “E&M 서울 본사 측에서 대응하고 있으며 공식 발표는 없다”고 밝혔다.
![홍콩·대만·마카오를 다른 나라와 병렬로 열거한 2017 MAMA 네티즌 투표 페이지. [관찰자망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6/563975ae-55cc-4656-ae34-d4b03a4a4d07.jpg)
홍콩·대만·마카오를 다른 나라와 병렬로 열거한 2017 MAMA 네티즌 투표 페이지. [관찰자망 캡처]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