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벽에 균열이 간 포항 장성동의 한 아파트.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6/5f876db3-c45f-4879-b499-20bd08290d57.jpg)
15일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벽에 균열이 간 포항 장성동의 한 아파트. [연합뉴스]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이후 신축 건물 내진 설계 확대
기존 건물 내진 보강하면 인센티브… 설계율 '20%' 수준
![포항 북구 흥해읍 마산리 주택가 한 마트 건물 외벽과 간판이 땅에 떨어져 있다. [매일신문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6/470d7743-97de-4a4b-88b8-7cd143c43977.jpg)
포항 북구 흥해읍 마산리 주택가 한 마트 건물 외벽과 간판이 땅에 떨어져 있다. [매일신문 제공]
국내 지진 발생이 잦아지면서 내진 성능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내진설계 비율은 저조하다. 노후 주택이나 근린생활시설(소규모 상가)같이 지진에 취약한 곳부터 보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부에 따르면 민간건축물의 경우 지난해 9월 기준 내진설계 비율이 30% 수준이다. 이 비율이 지난 9월엔 오히려 20%로 낮아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진 설계 의무 대상 건축물이 늘어나면서 내진설계 비율이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남영우 과장은 “우리도 지진 안전국은 아니기 때문에 건축물의 내진 안정성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려고 한다. 기존 내진 설계가 철근ㆍ콘크리트 같은 구조재 중심이었다면 내장재 같은 비구조재에 대해서도 내진 성능을 확보하도록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