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이자 유일의 A380 여성기장인 황연정씨는 ’꾸준한 체력관리로 정년(60세)을 채우고 싶다“며 ’섬세함과 순발력이 장점인 여성에게 기장은 추천할 만한 직업“이라고 말했다. [최정동 기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11/14/9347c7b4-2a24-4031-a9f3-11a45bc4a2ab.jpg)
한국 최초이자 유일의 A380 여성기장인 황연정씨는 ’꾸준한 체력관리로 정년(60세)을 채우고 싶다“며 ’섬세함과 순발력이 장점인 여성에게 기장은 추천할 만한 직업“이라고 말했다. [최정동 기자]
대한항공 21년차 베테랑 황연정씨
“비행기 조종석엔 남녀 차별 없어”
쌍둥이 낳고 출산휴가 중 복귀
“엔진 소리 그리웠죠 천직인가봐요”
그는 10년간의 부기장 생활을 거쳐 2008년 기장이 됐다. 2013년 A380 기장 교육을 받고 2014년 A380 기장이 됐다. 지난해 비행 1만 시간을 돌파한 그는 A380 기장 5년차에 접어든 올해 5000시간 무사고를 기록해 사장 표창을 받았다.
면면이 베테랑 기장인 그이지만 대학 시절 스튜어디스를 꿈꿔 인턴승무원으로 근무했다. 그러나 비행기 견학 때 우연히 앉게 된 조종석에서 그의 인생이 바뀌었다. 그는 “순간 가슴이 뛰었고 ‘내가 갈 길이다’고 생각했다”며 “조종훈련생 때 당시 비행기의 기장님을 교관으로 만났는데 잠깐 본 나를 기억하시곤 ‘기장이 될 줄 알았다’고 하시더라”며 웃었다.
- 쌍둥이 엄마로서 어려운 점은.
- “조종훈련생 동기인 남편과 결혼했다. 같은 직업이라 서로 이해하는 편이지만 훈련과 비행이 반복되는 일상은 바빴다. 아이 갖는 과정이 쉽지 않아 시험관 시술로 쌍둥이를 출산했다. 처음엔 혼자 해보려 했지만 곧 안 된다는 걸 알았고 남편과 번갈아 휴가를 받거나 친정어머니 도움을 받아 아이들을 키웠다. 무엇보다 ‘나는 다른 엄마들 만큼 시간이 많지 않다’는 걸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자신들이 스스로 알아서 하도록 해 왔는데 나름 효과를 내고 있다.”
- 출산휴가 중간에 복귀했다고 들었다.
- “임신을 알게 된 순간부터 휴직이 가능했다. 그런데 임신-출산 휴가 20개월째에 들어설 무렵 비행기 엔진 소리가 그리워졌다. 빨리 일터로 복귀하고 싶었다.”
- 남성 일색인 조종석이 힘들지 않았나.
- “조종석은 남녀 차별이 없다. 조종석 안에 들어가는 순간 남녀의 구분이 없고 단지 기장과 부기장의 업무 차이만 있다. 남성이 잘할 수 있는 부분도, 여성이 잘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여성은 남성보다 섬세하고 순발력이 좋은 게 장점이다.”
- 그래도 여성이라 어려웠던 순간이 있었을 것 같다.
- “훈련생 시절 착륙하다 유리창에 새가 부딪쳐 머리가 깨지며 피가 튀었다. 너무 놀라 소리를 질렀는데 기장님이 ‘놀라도 마음속으로 놀라고 티내지 마라. 네가 사람들에게 안심을 줘야 한다. 대담한 척하라’고 말씀해 주셨다. 아직도 그 얘기를 가슴에 품고 있다.”
그는 다시 태어나도 조종사가 되고 싶다고 했다. 정년(60세)을 꼭 채우고 싶다는 그에게 조종사는 천직으로 보였다.
기장을 꿈꾸는 여성 후배들에게 줄 조언을 구했다.
그는 “조종사 입사 당시 고 조중훈 회장께서 ‘조종사도, 엄마로서의 삶도, 아내로서의 삶도 포기하지 말라’고 하셨는데 와닿았다. 자신의 삶을 포기하지 않되 여성의 강점인 승객들과의 소통을 중시한다면 대형 비행기인 A380도 거뜬히 몰 수 있다”며 환하게 웃었다.
이가영 기자 idea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