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안리 유적에서 발굴된 두개골을 복원시킨 모습, 네페르티티의 동상.
우리 역사에서도 편두가 존재했다. 진수(陳壽, 233~297년)가 쓴 삼국지 위서 오환선비동이전에는 "삼한(三韓)에서는 아이가 태어나면 곧 돌로 그 머리를 눌러서 납작하게 만들려고 하므로, 지금 진한(辰韓) 사람의 머리는 모두 납작하다. 왜(倭)와 가까운 지역이므로 남녀가 문신(文身)을 하기도 한다"고 적혀 있다.
기록을 뒷받침하는 유물도 출토됐다. 김해 예안리 85호분과 99호분에서 편두 풍습을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유골이 나왔다. 예안리 유적 무덤에서는 50여 기의 편두 인골이 출토됐다.

한국뿐 아니라 편두는 일본, 필리핀, 이집트, 마야 문명 등에서도 발견됐다.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제10대 왕 이크나톤의 비 네페르티티의 동상.

편두 풍습이 비교적 최근까지 남아 있던 아프리카.

페루 파라카스에서 발견된 두개골.
여현구 인턴기자 yeo.hyungoo@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