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텅 빈 단둥 해관 주차장 (단둥<중국>=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로운 대북제재 2375호가 채택된 직후인 지난 9월 12일(현지시간) 오후 북중접경인 중국 랴오닝성 단둥의 해관 주차장이 텅 비었다. 2017.9.12 realis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소식통 "대북제재 연관 가능성 크다"
트럼프, 8일부터 이틀간 방중
많은 중국 관광업체들은 사흘이나 그 이상의 북한 관광 상품을 판매해왔다.
한 소식통은 이번 명령은 단둥 관광청에서 내려온 것으로 "예기치 못한 일이며, 오늘 통고를 받기 전까지 이런 일이 있을 것을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에게는 대단히 피해가 큰 소식"이라고 덧붙였다.
소식통들은 그러나 중국 정부로부터 이와 관련한 어떤 공식적 설명도 듣지 못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8∼10일 중국을 방문하며, 북핵 문제는 이 기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트럼프 대통령 간 논의의 최우선 의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의 대북제재 강화로 석탄·수산물·섬유 등 북한의 주요 수출품목의 수출이 제한된 상황에서 관광은 몇 개 남지 않은 북한의 외화벌이 수단 중 하나다. 특히 중국인들의 북한 관광 상품을 취급하는 대부분의 여행사는 단둥에 있다.
로이터는 이날 단둥 관광청과 중국 외교부에 답변을 요청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거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단둥 관광업계 소식통은 "지금이 비수기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이유일 것 같지는 않다"면서, 이번 조치는 "대북제재 강화와 연관됐을 가능성이 더 크다. 우리는 트럼프가 중국을 떠난 뒤에 어떻게 될지 기다려 볼 것이다. 이것은 모두 긴장 고조와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은 관광차 북한을 방문한 자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17개월간 억류됐다가 지난 6월 석방된 뒤 엿새 만에 사망하자 모든 미국 시민의 북한 여행을 금지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의 이번 조치는 단둥 외 지역 소재 북한 관광업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홍콩에 본사를 둔 북한 관광업체인 '글로 트래블'(GLO Travel) 관계자는 "우리는 북한 관광을 중단하라는 어떤 통지도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기준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