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7일 오전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발사대 4기를 비롯해 기타 장비를 추가로 배치했다. 주한미군이 경북 성주군 사드기지에서 바닥을 다지면서 발사대를 추가로 배치하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7일 오전 사드 임시 배치 완료, 완전 배치 위해서는 일반환경영향평가 진행돼야
국방부 "주민 설득 위해 지역 의견 적극 수렴해 현안 사업 지원할 계획"
성주시, 대구~성주 간 고속도로 건설 등 9개 1조3000억원 규모의 사업 건의
김천시, 7조6000억원 규모의 지역 숙원 사업 건의 고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재 소규모환경영향 평가만 끝나 사드를 임시 배치한 것"이라며 "완전 배치를 위한 일반환경영향평가에는 주민 설득과정이 포함된 만큼 사드 기지 인근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보상 사업 등 다방면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와 환경부가 지난달 12일 오전 경북 성주골프장에 있는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기지에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검증 작업을 진행했다. 이후 경북 김천혁신도시 한국도로공사 본사에서 시행할 전자파 측정은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건물 입구를 막아 취소됐다. 성주=프리랜서 공정식
성주군은 이미 지난 4월 행정안전부·국방부와 협의를 거쳐 사드 배치에 따른 9개 지원 사업을 건의했다. 8000억원 규모의 대구~성주 간 고속도로 건설, 5000억원 규모의 대구~성주 간 경전철 건설, 대구~성주 간 국도 30호선 교통환경 개선사업 지원(120억원), 경관 정비와 전선 지중화 사업 지원(25억원), 성주참외 군부대 납품, 제3 하나원 건립 우선 지원,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관광자원 개발, 풀뿌리 기업 육성 등 총 1조3000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이중 대구~성주 간 고속도로 건설은 기획재정부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로 넘어가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르면 올 10월 결과가 나와 성주시는 내년부터 기본계획수립에 들어가고 예산도 편성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구~성주 간 경전철 건설은 장기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성주를 오가는 길에 고속도로·국도·경전철 세 가지 사업이 중복 진행돼서다. 성주시는 현재 이 사업에 대해서 사전예비타당성 조사 진행을 요구하고 있다.
![대구~성주 경전철 계획. 사업성 문제로 장기 과제로 남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7/a394cae3-485c-4e84-8cd6-1166313eece0.jpg)
대구~성주 경전철 계획. 사업성 문제로 장기 과제로 남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앙포토]
![성주참외. [성주군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7/4b355263-a1ea-4184-a935-6d4548e8df4e.jpg)
성주참외. [성주군 제공]
경북도가 최근 파악한 김천시 현안 사업은 모두 19건이며, 약 7조6000억원 규모다. 김천∼거제 철도 건설 4조7440억원, 김천∼문경선 철도 건설 1조3714억원, 산재병원 597억원, 고속도로 역사관 750억원 등이다. 김천혁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한국전력기술을 원전해체 전담기관으로 지정해줄 것도 건의할 가능성이 높다.
![사드 잔여 발사대 4기 추가배치가 시작된 7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서 열린 사드배치 규탄 기자회견에서 한 주민이 침통해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7/8ff35dff-a968-49c2-8b4c-1cf112fdc79f.jpg)
사드 잔여 발사대 4기 추가배치가 시작된 7일 오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서 열린 사드배치 규탄 기자회견에서 한 주민이 침통해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성주·김천=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