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공존 5원칙(和平共处五项原则)’
60년간 지속해 온 중국 외교 노선의 기본 틀이다. 1953년 12월 저우언라이 총리가 인도 대표단을 맞이한 자리에서 처음 언급했다. 다섯 가지 원칙은 이렇다. ▶영토주권의 상호 존중 ▶상호 불가침 ▶상호 내정 불간섭 ▶호혜평등 ▶평화공존 등이다. 나중에 ‘주권과 영토보전의 상호 존중’은 ‘상호 이익 평등’으로, ‘호혜평등’은 ‘상호 이익 평등으로 수정했다. 이 조약은 냉전 시기 같은 공산주의를 표방한 소련을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명분으로 삼았고, 1978년 중일평화우호조약 체결 당시에는 ‘센카쿠 분쟁’을 비껴가는 전략이 돼 주었다.
60년간 중국 외교노선의 기본 틀, ‘평화공존 5원칙’
냉전 시기 소련 등 주변 강대국 영향권 벗어나려 주창
2014년 ‘신(新) 6대원칙’ 발표, 미국 중심 전후질서 부인
사드 보복은 적극적, 북핵에 소극적인 태도 ‘패권국’색 짙어
![지난 7월 7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 내외가 엘브필하모니 콘서트홀 공연을 관람했다. 공연 시작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앞줄 왼쪽)이 문재인 대통령의 손을 꼭 잡고 있다. 뒷줄에 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사진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6/fa8b13ed-9972-4bdb-9ab7-8b496e7aff05.jpg)
지난 7월 7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 내외가 엘브필하모니 콘서트홀 공연을 관람했다. 공연 시작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앞줄 왼쪽)이 문재인 대통령의 손을 꼭 잡고 있다. 뒷줄에 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사진 중앙포토]
“‘글로벌화’와 보호무역주의가 만연한 가운데 중국은 시종일관 다자주의와 개방포용에 앞장섰다.” -왕이 외교부 부장
“2012년 18차 당대회 이후 시진핑 동지를 핵심으로 하는 당중앙위원회가 외교 이론과 혁신 실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중국 CCTV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대국외교를 편다는 내용의 6부작 다큐멘터리(왼쪽), 방송 프로그램에서 인터뷰에 나선 왕이 외교부 부장(오른쪽) [사진 신화망·CCTV]](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6/5815e664-3aa1-4090-abf8-097bbec4ba15.jpg)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대국외교를 편다는 내용의 6부작 다큐멘터리(왼쪽), 방송 프로그램에서 인터뷰에 나선 왕이 외교부 부장(오른쪽) [사진 신화망·CCTV]
낯 뜨거운 다큐멘터리지만, 중국이 막강한 경제·군사력으로 미국에 버금가는 강대국 반열에 올라선 것은 분명하다. 지난 3일엔 중국 푸젠성 샤먼시에서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 경제 5개국으로 이뤄진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대대적으로 열렸다. 시 주석은 기조연설에서 “브릭스 5개국이 국제질서의 건설자로서 국제 현안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세계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개방형 경제를 강력하게 추진해 브릭스의 ‘황금 10년’을 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다시 한번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주의 경제를 겨냥한 것이다.
![지난 4일 샤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시 주석을 비롯한 브릭스 및 신흥시장국가와 개도국 대화회의에 참석한 정상들 [사진 신화망]](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6/8416d507-0d9a-4fc2-a03f-9e7876acccf4.jpg)
지난 4일 샤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시 주석을 비롯한 브릭스 및 신흥시장국가와 개도국 대화회의에 참석한 정상들 [사진 신화망]
대신 중국은 보도통제에 열을 올렸다. 방사능 오염 우려와 북한의 핵 보유를 반대하는 국내 여론을 의식한 탓이다. 북·중 국경 인접 지역에 대한 방사능 수치 측정, 2만여 개에 가까운 인터넷 댓글이 삭제됐다. 이날 오후 환구시보가 인터넷에 대북 무역 전면 중단을 막아야 한다는 사설을 게재했으나 곧 사라졌다.
![지난 3일 북한 노동신문은 1면에 수소탄 개발에 성공했다는 기사를 싣고 이를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사진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에 수소탄 탄두 모형을 살펴보는 모습. [사진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6/17844dbf-dc7e-4ec1-a4d1-3b9b8a1975e1.jpg)
지난 3일 북한 노동신문은 1면에 수소탄 개발에 성공했다는 기사를 싣고 이를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사진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에 수소탄 탄두 모형을 살펴보는 모습. [사진 중앙포토]
차이나랩 김영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