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의 동북아 ② 북 미사일 요격 가능성은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왼쪽)은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고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11/74b5688f-bdf0-4f08-afdf-b8b019d3eb2d.jpg)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왼쪽)은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고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북·미 긴장 고조 속 정책 기조 유지
북 “탈북 12명 북송 없인 협력 없다”
북한과의 대화에 초점을 맞춘 문 대통령의 ‘7·6 베를린 구상’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연이어 고강도 도발에 나서는 바람에 한반도 문제의 ‘운전석’에서 문 대통령의 입지가 크게 좁아진 상태다.
청와대 관계자는 “오늘 문 대통령이 NSC를 주재하지 않거나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직접 발언을 안 한 것은 상황을 안이하게 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엄중한 시기를 택하기 위해서”라며 “대통령이 설전(舌戰)에 나서서 말을 섞어 더 복잡한 구도를 만드는 것보다는 엄중하게 상황을 지켜보고 모든 준비를 다 하는 것이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는 게 청와대의 인식”이라고 말했다.
NSC 회의 후 나타난 청와대의 정책 기조는 최근의 북·미 간 긴장 고조에도 불구하고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정 실장은 NSC에서 현 안보 상황에 대해 “벼랑 끝으로 가고 있다”는 표현을 썼다고 한다. 전날만 해도 청와대에선 “한반도 안보 상황이 매우 엄중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위기설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한 것과는 다른 뉘앙스였다. ‘벼랑 끝으로 가고 있다’는 표현과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상황이 엄중해질수록 미국과 북한이 대화 테이블을 마련하게 될 거란 기대를 갖고 있고, 북한이 원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미국과의 대화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라고 주장했다.
NSC 회의에선 “한반도 문제의 핵심 당사자인 우리 정부가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현 긴장 상황 완화와 근본적 (핵 위협의)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도 적극 전개하기로 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하지만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도 지난해 중국식당에서 탈북한 북한 여종업원 12명에 대한 북송을 요구하며 “이들을 송환하지 않으면 남북 간 이산가족 상봉과 어떤 인도주의적 협력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