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안은 절대평가 영어·한국사에
통합사회·과학 등 총 4과목으로
2안은 7과목 전부 절대평가 확대
통합사회·과학은 모든 수험생 필수
수학 문·이과 구분 여전 “학생 부담”
국어·수학 사교육 더 과열 가능성
‘EBS 70% 연계’ 출제도 손질키로
공청회 거쳐 31일 최종안 확정 발표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11/f3f904a5-93b3-40ab-8ba5-c7c657d77e62.jpg)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정치권과 교육계 안팎에서는 1안을 채택할 가능성을 점친다. 익명을 요청한 교육부 관계자는 “절대평가 전면 도입을 우려하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단계적 도입이 낫겠다는 의견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3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91점과 100점이 똑같이 1등급인데, 91점은 합격이고 100점은 불합격이면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 절대평가를 급히 확대하면 학생·학부모와 대학이 수용하고 승복하기 어렵다”고 발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절대평가 전면 전환을 촉구해 온 교육단체들은 1안이 채택돼 국어·수학·탐구가 상대평가로 유지될 것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국어·수학을 상대평가로 유지한다는 건 문재인 정부의 교육 공약 1호인 절대평가 전환을 스스로 폐기하는 것”이라 비판했다. 서울의 한 사립고 교장은 “이미 1안을 결정해 놓고 공청회 등을 통해 명분을 쌓으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어·수학·탐구만 상대평가로 남을 경우 수능 위주의 정시 모집에선 사실상 이 세 과목이 대입을 결정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이들 과목 관련 사교육이 과열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또 교육계에선 이번 개편 시안이 당초 취지인 문·이과 통합의 취지를 살리기에는 미흡하다고 평가한다. 국중대 한양대 입학사정관팀장은 “적어도 고1 때는 사회·과학을 함께 배우도록 해 융·복합이라는 모양새를 갖췄지만, 이것만으론 고교 교육에 뿌리 깊은 문·이과 장벽을 깰 수 있을까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11/7178122d-0e95-4c90-b7b4-787fba720f29.jpg)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수학을 현행 수능과 동일하게 가형(이과), 나형(문과)으로 구분해 치르는 것도 이 같은 평가를 뒷받침한다. 서울의 한 사립고 진학 담당 교사는 “지금도 고교생은 수학 가형과 나형 선택에 따라 문과반·이과반으로 나뉜다”며 “수학이 분리된 상태에서 문·이과 통합교육을 실현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학습 부담이 줄기는커녕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행 수능에서 수험생은 대개 국어·수학·영어·한국사 등 네 과목을 공통으로 치르는데 앞으로는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이 공통과목에 추가되기 때문이다.
신동원 휘문고 교장은 “내년부터 가르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고1 때 매주 4시간씩 배운다”며 “국·영·수와 수업 비중(시수)이 같은 과목이 2개나 늘어 현행 수능보다 학업 부담이 오히려 증가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때 수능에서 제외하자는 의견이 제기됐던 제2외국어·한문도 그대로 유지된다. 또 교사들로부터 “공교육을 황폐화시킨다”고 비판받아 온 ‘수능 EBS 70% 연계’ 정책은 수정될 가능성이 크다. 교육부는 이날 ‘EBS 연계’를 축소·폐지하는 1안, 연계하되 방식을 개선하는 2안을 제시하고 의견 수렴을 거쳐 31일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윤석만·전민희 기자 sa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