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양군 석보면 맹동산 일대 영양풍력발전단지 전경. [사진 영양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02/dfcbda2b-f84b-4ea8-9a2f-ab653da28485.jpg)
경북 영양군 석보면 맹동산 일대 영양풍력발전단지 전경. [사진 영양군]
경북 영양 풍력발전소 추가 건설,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 부적절 판정
대구지방환경청 "낙동정맥 등 산림 심각하게 훼손"
朴 정부 규제완화 이후 급속도로 진행됐던 풍력단지 건설
환경단체 "문재인 정부, 계속해서 환경영향 고려해야"
김만기 대구지방환경청 환경평가과 주무관은 "해당 지역은 다양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지인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으로 환경 보전가치가 우수한 산림"이라며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할 경우 회복할 수 없는 자연환경 훼손, 생태적 연속성의 단절 등이 우려된다고 판단했다"고 근거를 밝혔다.
이와 별도로 현재 영양에는 이미 지어 운영 중인 59기의 풍력발전소가 있다. 또 환경영향평가를 이미 거쳐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27기가 더 있다.
2014년 박근혜 정부가 풍력발전 인ㆍ허가 규제를 완화하면서 영양의 풍력발전시설 건립은 탄력을 받았다. 풍력발전시설 건립 가능 지역이 생태자연도 2급지에서 1급지로 변경됐고, 산지 전용 허가도 3만㎡에서 10만㎡ 이내로 규제가 풀렸다. 규제 완화 후 풍력발전소 설립이 계속 이어진 것이다.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앞에서 열린 '무분별한 풍력을 반대하는 경북지역 주민대책위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자연 생태계 훼손과 주민피해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02/1f9270d4-e395-4285-9d84-8ba954b1ba81.jpg)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앞에서 열린 '무분별한 풍력을 반대하는 경북지역 주민대책위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자연 생태계 훼손과 주민피해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면 세수 확보 등의 이유로 영양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반겼던 영양군은 당황해 하고 있다. 앞서 지난 4월 권영택 영양군수는 발전소 건설로 일자리 창출, 주민복지사업 확대, 지역 세수 확보를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영양군 관계자는 이날 "환경청의 부적절 통보를 받았다"며 "군의 입장을 정리 중이다"고 말했다.
대구=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