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은 이날 새벽 청와대에서 긴급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에서 “사드 잔여 발사대 배치를 비롯해 한ㆍ미 연합방위 강화 및 신뢰성 있는 억제력 확보 방안을 확보하기 바란다”고 지시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독자적 대북 제재 방안도 검토해야”
“‘베를린 구상’ 동력은 상실 안 돼야”
청와대 “중국에 사드 배치 관련 통보”
이같은 조치와 관련해 청와대는 중국 측에 사전 통보를 했다고 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양측에 협의가 된 걸로 알고 있다”며 “시점을 정확히 말할 수 없지만 우리의 조치 상황에 대해 중국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1시간 동안 NSC 회의를 진행한 뒤 마무리 발언을 통해 “금번 미사일 발사는 동북아 안보 구도에 근본적 변화가 될 가능성도 있다”며 “따라서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베를린 구상’의 동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교ㆍ안보 부처는 미국 등 우방국들과 공조하여 금일 도발에 대한 안보리 차원의 조치 등 국제 사회의 단호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 주기 바란다”며 “필요시 우리의 독자적 대북 제재를 하는 방안도 검토하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 1시 북한이 28일 밤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기습 발사한 것과 관련해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7/29/c7911530-f4b4-4c93-b968-e121e29399df.jpg)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전 1시 북한이 28일 밤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기습 발사한 것과 관련해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런 뒤 “단호한 대응이 말에 그치지 않고 북한 정권도 실감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실질적인 조치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주기 바란다”며 “북한의 핵ㆍ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리 군의 독자적 전력을 조기에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 바란다”고 했다. 또 “무엇보다 궁극적으로 긴밀한 한ㆍ미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 도발을 억제하면서 핵ㆍ미사일 프로그램을 동결시키고 최종적으로 완전한 북핵 폐기를 달성해야 한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정치권을 향해선 “엄중한 상황에서 국민 단결이 중요하고, 안보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며 “여야가 협조해 국민이 불안해 하지 않고 경제에 타격이 없도록 적극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전략적 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로 한ㆍ미 연합 탄도미사일 발사 등 보다 강력한 무력시위의 전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의 긴급 요청을 통한 강력한 대북 제재안 마련 추진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대북 경계태세 강화 등도 지시했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