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 때 한반도까지 서식 범위를 넓혔다가 고립된 식물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세바람꽃·암매·노랑만 병초·구상나무. 암매는 한라산에서만, 노랑만병초는 경북에서 , 구상나무는 한라산·지리산·덕유산 등에서 관찰된다. 구상나무는 분비나무가 고립된 뒤 별도의 종으로 진화한 경우다. [사진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05/c749c048-d849-4119-a2b0-a43f6849225f.jpg)
빙하기 때 한반도까지 서식 범위를 넓혔다가 고립된 식물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세바람꽃·암매·노랑만 병초·구상나무. 암매는 한라산에서만, 노랑만병초는 경북에서 , 구상나무는 한라산·지리산·덕유산 등에서 관찰된다. 구상나무는 분비나무가 고립된 뒤 별도의 종으로 진화한 경우다. [사진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국외 반출 승인 대상인 희귀식물
국내선 한라산에만 서식 알려져
국립공원관리공단 소백산국립공원 북부사무소 김선현 주임은 “한 송이가 피어 있을 때 아래쪽에 꽃봉오리가 맺히고, 먼저 핀 꽃이 지고 나면 나머지가 피는 식”이라며 “전체적으로 개화 시기를 늘려 꽃가루받이 확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바람꽃은 햇볕이 하루 1~2시간 들면서도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를 선호한다. 까다로운 서식 조건 탓에 해발 700m 이상의 차가운 아한대 지역에서만 서식한다. 과거 빙하기 때 한반도까지 서식 범위를 넓혔지만 이후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한반도 남쪽에서는 사라지고 고도가 높은 제주도 한라산에만 남았다. 북한에서는 백두산 등 함경남북도에서 발견되고 있다.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현진오 소장은 “빙하기 때 한반도에 내려왔다가 한라산·지리산·설악산 등에만 남은 경우가 있는데 암매·홍월귤·노랑만병초 등이 그런 사례”라며 “세바람꽃이 소백산에서 발견됐다는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세바람꽃은 분포 지역이 좁은 희귀식물에 해당되며, 국외 반출 승인대상종으로 지정돼 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