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부지 환경평가 땐 연내 배치 불가
진영의 이념 논리로 안보 흔들지 말고
트럼프에 잘못된 메시지 주지 말아야
그러나 실제 국내 상황은 한 장관의 말과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발사대 4기의 반입 사실을 비공개로 한 이유가 사드 부지에 대한 전략적 환경영향평가를 회피하기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그의 말 한마디로 사드 부지가 전략 환경영향평가를 받으면 사드의 연내 배치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전략 환경영향평가는 1년 이상이 걸린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지난 1일 사드 사업 부지(10만㎥)는 33만㎡ 이하여서 전략 환경영향평가 대상이 아니라고 항변했다. 국방부가 청와대에 맞서는 모양새다. 사드 파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그저께 서울 도심에서 열린 노동·시민단체 집회에서는 사드 철회 주장이 잇따랐다. 안보 문제가 국내 이념 분쟁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사드는 처음부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한·미가 배치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북한은 소형화한 핵탄두를 올해 안에 미사일에 장착할 전망이다. 이런 정보평가에 따르면 사드는 연내 배치를 완료해야만 한다. 보고 누락 파장으로 사드 배치가 늦어지는 상태에서 북한이 핵미사일로 위협해 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더구나 사드가 진영 간 이념 문제로 비화한다면 우리 사회는 또다시 불필요한 분열에 휩싸일 것이다.
사드는 북핵 대비가 최우선이라는 점을 새 정부는 깊이 인식해야 한다. 이념과 진영의 꼬리가 몸통(안보)을 흔들지 않도록 이른 시일 안에 사드 논란을 정리해야 한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잘못된 메지지를 주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