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 결성돼 서울에서 싱글 ‘필 라이크 디스’를 내며 활동을 시작한 EXP 에디션. [사진 각 소속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15/40362a61-2a9b-4e06-865d-21eb15c1eb7a.jpg)
뉴욕에서 결성돼 서울에서 싱글 ‘필 라이크 디스’를 내며 활동을 시작한 EXP 에디션. [사진 각 소속사]
외국인 4인조 ‘EXP 에디션’의 실험
미국서 싱글 인기 얻자 한국 데뷔
하나의 장르가 된 K팝 역수입 현상
빅뱅 패러디 ‘BgA’도 유튜브서 인기
의미 없는 한글 나열에도 1억 뷰
그룹명에서 엿볼 수 있듯 이들은 미국 뉴욕에서 시작된 하나의 ‘실험(experiment)’이었다. 2014년 컬럼비아대 대학원에서 현대미술을 전공하던 김보라씨가 평소 K팝에 관심이 많던 일본계 카린 쿠로다, 대만계 서맨사 샤오와 함께 아임어비비(I’m Making A Boy Band)라는 회사를 만들어 직접 오디션을 열고 보이그룹 육성에 나선 것이다. 김씨는 “처음에는 다큐멘터리를 만들어보자는 생각에 시작했는데 미국에서 발매한 싱글이 생각보다 더 많은 인기를 얻게 돼 한국 활동까지 할 수 있게 됐다”며 “문화 간 접점에서 이뤄지는 새로운 시도에 응원해주는 팬들이 많아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 몇 년간 K팝의 성공으로 마치 홍콩 누아르 영화처럼 장르화가 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한국인 없이도 K팝 그룹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이 가능해진 것은, (K팝을) 뮤직비디오나 화장법 등 몇 가지 코드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장르물로 접근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문화적 상호 교류나 시장 확대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라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에서 해외로 수출하는 문화 한류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한국으로 역수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겨나고 있는 셈이다.
![유튜브 스타 라이언 히가가 결성한 K팝 패러디 그룹 BgA. [사진 각 소속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15/09cbf0d6-8ec2-4fb8-ade3-3d84526c3026.jpg)
유튜브 스타 라이언 히가가 결성한 K팝 패러디그룹 BgA. [사진 각 소속사]
첫곡 ‘Dong Saya Dae(똥싸야돼)’는 ‘너는 여자/ 나는 모자/ 우린 감자’ 같은 ‘아무말 대잔치’에 가깝지만 누적 조회 1억 뷰를 기록했다. 이어 지난 3월 발표한 신곡 ‘후즈 잇 고나 비(Who’s it Gonna Be)’는 발매 2시간 만에 신보를 낸 몬스타엑스와 GOT7을 제치고 아이튠스 K팝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일주일 전부터 SNS를 통해 티저 광고를 내보내고, 팬클럽 이름과 그룹 컬러에 이어 리더를 정하는 과정을 담은 10분 짜리 뮤직비디오까지 만든 결과다. 단순히 K팝 그룹을 모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산업 전반에 퍼져 있는 관습까지 지적한다.
과연 이들의 실험은 성공할 수 있을까. 영상사회학을 전공한 마이클 허트 교수는
“K팝이 미국 힙합 등 흑인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이를 차용해 다시 새로운 시도의 발판으로 삼는 문화적 전유(Cultural Appropriation)와 재전유는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처음 에미넴이 등장했을 때도 ‘왜 백인이 랩을 하는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지만 이내 문화적 경계를 허무는 기폭제가 됐듯 긍정적인 부분이 더 크다는 것이다. 그는 “태국에서 유행하는 T팝이나 베트남의 V팝 모두 팝보다는 K팝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한국어 싱글 ‘어때’를 발매한 흑인 여성 듀오 코코 애비뉴. [사진 각 소속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15/63661602-3edf-43ce-afd2-c4563615795e.jpg)
지난달 한국어 싱글 ‘어때’를 발매한 흑인 여성 듀오 코코 애비뉴. [사진 각 소속사]
세계한류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오인규 고려대 교수는 “사람들이 K팝에 기대하는 것은 단순히 음악이 아닌 뮤직비디오를 비롯해 체계적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퍼포먼스”라고 설명했다. 이들 사이에 외국인 멤버가 들어가면 음악은 더 잘할지 몰라도 아시안이 아닌 이상 튀어보일 수밖에 없단 얘기다. 오 교수는 “BgA의 개그코드는 기존 한류에 냉소적인 계층에 소구력이 있다”며 “주류 K팝 팬들에게는 작용하지 않는 단발성 이벤트가 될 확률이 높아 수익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기적 관점에서 태권도처럼 세계화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해외에 본사를 두고 현지에서 발굴해 육성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경원 기자 storym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