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단체들이 9일 오후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앞에 마련한 모의 투표소. 홍상지 기자

9일 오후 한국YMCA전국연맹 등 청소년 단체들이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홍상지 기자

청소년들이 직접 적은 차기 대통령에게 바라는 공약들. 홍상지 기자
이들 외에도 19대 대통령 선거 당일인 9일 시민사회단체들은 잇따라 성명을 내고 곳곳에서 기자회견과 집회 등을 개최했다.
전국 370개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만든 '2017 대선주권자행동'(주권자행동)은 9일 오전 성명서를 통해 "수구 특권·기득권 세력이 가장 두려워 하는 건 국민들의 압도적인 투표 참여다. 국민을 이기는 권력은 있을 수 없고 투표를 이길 수 있는 권력은 더더욱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주권자행동은 "새 정부는 민주주의 회복 및 발전, 인권 옹호 및 보장,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게 개선, 민생문제 해결 및 노동이 존중받는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매진해야 한다. 또 모든 권력 행위마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민주주의'라는 대 원칙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애인 단체들이 모여 만든 '2017 대선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장애인 참정권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홍상지 기자
단체 측은 "이번 대선에서도 여전히 전국의 사전투표소 10개 중 2개는 장애인이 아예 접근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투표권은 모두가 평등하게 살아가기 위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보장받아야 하는 뿌리와 같은 권리다. 장애인도 차별 없이 평등하게 투표하고 싶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투표소 접근성 확보 ^선거 기간 편의 제공 ^선거사무원 등 장애인 지원 교육 강화 ^장애인 거주시설 참정권 보장 등의 요구안을 발표했다.
홍상지 기자 hongsa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