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미나
그러다 하루는, 도대체 무슨 얘기를 저렇게 열심히 나눌까 궁금해져 몇 테이블의 얘기에 귀를 기울였다. 다가올 패션위크 얘기일까? 아니면 낭만적인 로맨스? 의외였다. 열띤 대화는 한결같이 ‘정치’와 ‘선거’였다. 각 당 대선후보들의 장단점부터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당별 당론 분석에 이르기까지 쉼 없었다. 광장 자체가 늘 정치를 향해 열린 마당이었다. 최근 올랑드 대통령이나 사르코지 전 대통령이 비전을 설명했던 곳도 그곳이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감옥을 부수고 시민혁명을 시작한 곳이다. 민주주의의 가치가 움트고 실현되는 장소인 셈이다. 바로 그곳에 서 있자니 ‘프랑스인의 높은 콧대는 우아한 패션이나 문화적 자산 때문만이 아니구나.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시민의식에서 나오는 것이구나’라는 깨달음이 밀려왔다.
한국에 돌아와 5년 전부터 인생학교를 운영 중이다. 그간 깨달은 걸 한 줄로 표현하면 ‘소통이 행복을 견인한다’는 것이다. 시민과 시민이, 대선후보와 시민이, 그리고 과거와 현재가 민주주의란 이름으로 소통하는 공간인 바스티유 광장이 가르쳐준 덕목과 딱 들어맞는다.
우리도 소통의 광장을 갖기 위한 기초적인 터는 닦았다고 생각한다. 이 터를 잘 가꿔 ‘우리들의 바스티유 광장’으로 만들어 콧대 높은 민주주의를 실천해야 한다. 그게 이제부터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아닐까. 물론 그 첫 단추는 열린 마음으로 대선 투표장을 향해 힘차게 걸어가는 것이다.

손미나 여행작가(‘인생학교’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