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당 저 당보다 궨당이 최고’ 옛말
유권자 20%인 이주민 새 변수로
전문가들은 이번 총선의 최대 변수로 외지인들의 표심을 꼽는다. 4~5년간 지속된 이주 붐을 타고 매년 2만여 명씩 외지인이 유입되고 있어서다.
제주도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4·13 총선의 19세 이상 유권자는 49만658명이다. 외지에서 들어온 이주민들이 급증하면서 4년 전인 19대 총선 때보다 유권자가 11%(4만9188명) 증가했다.
제주도는 최근 3년간 외지인구 4만8906명이 제주로 순유입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제주 유권자의 5분의 1가량을 외지인이 차지한 셈이다. 궨당을 대신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이주민들의 다양한 표심이 표출될 가능성도 그만큼 커졌다.
이주민들은 제주 출신 주민과는 달리 학연이나 지연에 얽매이지 않는다. ‘궨당 네트워크’보다 정당이나 인물을 보고 투표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각종 커뮤니티나 협동조합 등을 만들어 정치적인 견해나 정보를 교환하는 이주민들도 늘어나고 있다. 무시할 수 없는 새로운 유권자 집단이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관련 기사
① 전기차 37만 대 목표…범죄·사고·공해 없는 ‘삼무도’ 옵서예
② “사람·자연 모두 살기 좋으면 부호 몰려올 것”
③ 이효리집 동네 애월읍 땅 경매…감정가보다 7배 비싸게 낙찰
지난해 서울에서 이주한 고모(64·서귀포시 하효동)씨는 “지역 사정에 어두운 이주자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해줄 능력 있는 후보에게 표를 주겠다”고 말했다.
총선에 나선 후보들도 이주민들을 위한 공약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주민 정착 지원 프로그램 개발’이나 ‘신(新) 제주인들의 안착을 위한 지원’ 등이 대표적인 공약들이다.
제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한 신방식 새누리당 예비후보는 “박빙 선거구일수록 이주민들의 선택이 당락을 좌우할 것으로 보여 이주민의 정착을 도울 공약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최경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