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행이 중단된 채 12년째 방치돼 있는 교외선 송추역의 낡은 선로 위에서 장재훈 장흥발전협의회 회장(왼쪽)이 지역 주민과 재개통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전익진 기자]
“2004년 열차 운행 중단으로 쇠락”
장흥·송추 주민들, 재개통 목소리
철로 멀쩡, 관광열차 등 활용 요구
국토부 “수요 부족, 재개통 어려워”
코레일은 지자체에 비용 부담 요구
12년째 운행이 중단된 채 방치돼 있는 교외선을 재개통해야 한다는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가 높다. 집단 행동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해법은 보이지 않는다.
장재훈(56) 양주시 장흥발전협의회 회장은 “대책 없는 교외선 운행 중단이 10년 이상 지속되는 걸 두고 볼 수 없다”며 “오는 3월 고양·의정부 주민과 함께 궐기대회를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전철화·복선화 한다지만, 먼저 예전처럼 단선 철도부터 살리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종문(51) 장흥농협 송추지점장은 “한시적이나마 주말이나 야간에 관광열차를 운행하거나 레일바이크 길로 활용하는 것도 지역 발전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흥유원지 주민도 같은 의견이다. 김정열(62)씨는 “열차 운행중단으로 장흥·송추·일영유원지가 날로 쇠락하고 있다. 이 일대를 회생시키기 위해서는 교외선 운행을 서둘러 재개해야 한다”고 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2011년, 2012년 두 차례 실시한 예비 타당성 조사에서 수요가 적어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와 복선전철 추진이 당장은 어렵다”고 밝혔다.

주말이면 유원지를 찾는 행락객으로 붐볐던 2000년대 초반 장흥역(위). 지금은 낡은 간판이 운행 중단의 세월을 말해준다. [전익진 기자], [중앙포토]
이에 대해 양주시는 다른 논리를 펴고 있다. 김건중 양주시장 권한대행은 “교외선 주변 지역은 수십 년간 개발제한구역·수도권정비계획법·군사시설보호법 등 각종 규제와 안보로 인해 희생당해 왔다.
정부는 소외 지역에 대한 교통복지 차원에서 중단된 교외선을 즉시 재개통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주 주민들도 교외선 재개통 및 전철 개통과 관련한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만 따질 게 아니라 각종 규제로 뒤쳐진 지역특성도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코레일 측은 양주시·주민들의 거듭된 재개통 요구에 지자체에서 소요 비용(연간 약 35억원)을 전액 부담할 경우 재개통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양주시는 “재원이 없는 상황인 데다 국가철도망 사업에 지자체가 비용을 투입할 수는 없다”며 맞서고 있어 절충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재개통 궐기대회를 준비 중인 장재훈 회장은 “대책이 지연된다면 장기간 운행 중단된 교외선로를 아예 걷어내고 폐선 조치를 서둘러야 체계적인 지역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글, 사진=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