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남
총장 직속 … 단장에 김기동 유력
검찰 “특수수사 역량 강화 돌파구”
성과 미미 땐 ‘미니 중수부’ 역풍
현재 알려진 수사TF의 얼개는 검찰총장 직속으로 검사장(차관급)을 단장으로 하고 부장검사와 평검사 등 10명 안팎이 대형 수사를 이끌어 가는 방식이다. TF 단장-대검 반부패부장-검찰총장으로 보고라인을 간결화해 수사 신속성을 높이고 대검 회계분석팀은 물론 전국 검사 중 우수 인력을 탄력적으로 파견받아 효율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라고 한다. 단장으로는 현재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장인 김기동(21기·대전고검 차장) 검사장이 유력하다.

검찰은 수사TF가 특수수사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검찰은 포스코그룹과 자원외교 비리 의혹 수사 등에서 장기간 수사를 하고도 눈에 띄는 성과를 못 냈다는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 검찰조직이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검찰 간부 출신의 한 변호사는 "잘하면 수사 부실로부터의 탈피지만 정치수사라는 비난에 직면하는 등의 상황이 생기면 ‘미니 중수부’를 만들었다는 비난을 듣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전 정권 핵심 인사 등을 주로 겨냥할 경우 청와대 ‘하명’에 따른 정치 보복 수사라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TF의 첫 수사 대상이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1년 저축은행 비리 사건이나 지난해의 방위사업 비리 사건처럼 국민적인 응원을 받는 수사가 아니라 정치 논리에 휘말릴 수 있는 사건을 다룰 경우 과거 중수부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어서다. 한 전직 검찰총장은 “결국 총장 직속의 수사팀은 총장이 수사를 직접 책임지겠다는 것이라서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복현·장혁진 기자 sphjtbc@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