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총장은 “기부로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조문규 기자]
기부 막는 역주행 세제 바꾸자 <하> 여야 나눔 전도사들의 제언
김주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총장
“더 많은 부자, 기부자로 만들어야”
특히 고액 기부자가 민감하게 반응했다. 5년간 1억원 이상을 낸 기부자를 대상으로 한 ‘아너소사이어티(honor society)’ 가입자는 최근 3년 새(2013년 210명, 2014년 272명, 올해 10월까지 186명)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공동모금회 입장에선 큰 타격이다. 2014년 미국 모금단체인 ‘유나이티드 웨이(United way)’는 모금액 39억 달러 중 57%를 직장인 정기 기부로 거둬들였다. 반면 공동모금회는 고액 기부자에 대한 의존이 크다. 2013년 공동모금회는 전체 개인 기부액(1528억)의 39%를 불과 0.2%(73만1000명 중 1500명)로부터 받았다.
기부금에 세액공제 방식을 채택하는 건 세계적 추세에도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영국·일본·대만·독일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은 대부분 기부금에 대해 소득공제 방식을 채택한다. 세액공제를 채택하고 있는 프랑스의 경우 470유로(약 60만7000원) 이하는 기부금액의 75%, 470유로 초과는 66%를 세액공제율로 정하고 있다. 1200만원을 초과하는 고액기부는 기부액의 50%를 세액공제율로 한 새정치민주연합 김관영 의원 개정안보다 훨씬 높은 비율이다.
김 사무총장은 “소득세법 개정이 결국 부자 감세 아니냐”는 질문에 “모든 부자가 고액 기부자는 아니다. 세제 혜택을 통해 더 많은 부자를 고액 기부자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부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일은 사회통합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종문 기자 persona@joongang.co.kr
◆관련기사
기부 의욕 꺾는 세법 손질한다
원혜영 “현 제도는 기부 범죄시해” 나경원 “기부 키워 복지 뒷받침을”
사회에 기부하는 ‘착한 부자’에게 세제 혜택 줘야
“연말정산 뒤 기부 중단 전화 쏟아져 아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