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4 싱크탱크를 가다' 를 마치며 박진 전 의원이 전한 워싱턴 기류
"한·일 갈등, 한·미에도 악영향 걱정
일본, 미·일 vs 한·중 구도로 몰아가
한국, 북핵 문제 주도적으로 나서야"
특히 박 전 위원장은 “아베 정권 출범 후일본이 워싱턴에 한 달 평균 3명 정도 사람을 보내는 등 전에 없이 로비 외교를 강화하고 있다”며 “한국 역시 미국이 우리의 입장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야 하며, 미국민과도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공공외교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11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중·일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보다 앞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우리 국익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아베 정권의 소위 고노담화 검증 시도는 자충수라는 시각이 우세했다고 박 전 위원장은 말했다. 그는 “워싱턴이 주목하는 것은 어쨌든 일본이 고노담화를 계승하겠다고 한 것”이라며 “가장 많은 가치를 공유하는 이웃국가 한국이 이해하지 못하는 정책을 펼친다면 일본이 어떻게 아시아에서 지도력을 발휘하겠느냐는 이야기가 많았다”고 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어 “우리는 미·중 관계가 조화로울수록 국익에 보탬이 되고, 일본은 반대로 미·중이 대립할수록 이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역시 미·중이 건설적 파트너십을 만들어가는 게 이익이라는 시각을 갖고 있다”며 “우리가 주목할 점은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중국과 함께 양극화 구도로 세계질서를 움직일 의도는 전혀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4대 싱크탱크 책임자의 중국에 대한 시각은 다소 엇갈리긴 했지만, 중국을 어느 정도 견제해야 지역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것만은 일치된 생각이었다”고 했다.
‘전략적 인내’로 대변되는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한계론이 형성되고 있다고 박 전 위원장은 설명했다. 그는 “전략적 인내의 맹점은 북한이 먼저 진정성 있는 조치를 취하기만 기다리는, 목표 시한이나 계획이 없는 정책이라는 것”이라며 “전략적 인내는 사실 ‘전략이 없어 인내하는 것’이라는 비아냥도 들었다”고 말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런 상황일수록 북핵 문제의 당사자로서 한국이 주도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며 “대북정책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자신감 있는 전방위 외교를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글=유지혜 기자
사진=최승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