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실각설 파문 차단 의도인 듯
북한 주민들이 이처럼 대사관에 출입국 신고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위부 차원에서 베이징 체류자 전원을 대상으로 호구조사를 함에 따라 정부는 배경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가 장성택 실각설과 연관관계가 있는지 주시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조사 작업이 이번 주 들어 본격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장성택 실각설이 알려지며 해외에서 뒤숭숭한 분위기가 퍼지자 집안 단속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조사 작업이 일부 언론을 통해 제기되고 있는 장성택 최측근의 망명설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선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누가 망명을 했는지 찾아내는 과정으로 비칠 수도 있지만 해외에서도 감시망이 작동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집중조사를 하지 않아도 금방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아직은 신중한 입장이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도 망명설과 관련, “현재로선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는 1997년 2월 망명한 황장엽(2010년 10월 사망) 전 국제담당 비서 사례처럼 이번 사태를 계기로 북한 고위직 인물들의 탈북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정용수 기자
관련기사
▶ '실각설' 장성택, 김정일 사망 후 보위부 문건에 손댔다가…
▶ 장성택 실각설 직후 北주민과 통화해 보니…
▶ "장성택 두 측근, 제한된 인원 보는 앞에서 처형"
▶ 北 기록영화서 장성택 '삭제'…우회적 실각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