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 정부 출범 초 기무사 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던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 4월 24일 경기도 과천시 별양로에 위치한 기무사에선 40대 기무사령관이 된 장경욱 육군 소장의 취임식이 열렸다. 이 자리엔 김관진 국방부 장관도 참석했다. 김 장관은 장경욱 소장을 “발군의 능력을 발휘해온 정보 분야 전문가”라며 “이처럼 장 장군을 새로운 기무사령관으로 맞이하게 된 것을 마음 든든히 생각한다”며 치켜세웠다. 김 장관은 4분30초 동안 진행한 훈시(訓示) 대부분을 기무사 개혁을 강조하는 데 할애했다.
그러나 장 전 사령관은 6개월 만에 경질됐다. 경질 배경을 놓고 김 장관과 장 전 사령관의 주장은 엇갈린다. 김 장관 측은 기무사가 지휘계통을 배제하고 청와대 등에 장관 등 군 실세들의 부적절한 인사 개입설 등을 퍼뜨렸다며 자질 부족을 문제 삼고 있다. 반면 장 전 사령관은 “청와대에 군내 여론과 분위기를 전달해 이런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보고했다”고 맞서고 있다. 기무사의 고유 업무영역이란 반발이다.
두 사람의 진실공방은 여야 정치권이 끼어들면서 점점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진실공방과는 별개로, 군내에선 이참에 기무사가 환골탈태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목소리가 높다. 익명을 원한 한 장성은 “군 지휘관들은 지인들을 만날 때도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해 기무요원을 배석시키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기무 동향보고서 여부에 따라 인생이 달라질 수도 있기에 기무요원이 지휘관의 ‘갑’인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군 관계자도 “기무사 요원들 중엔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는 등 물의를 빚고도 다시 요직에 중용되는 등 특권을 누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전했다.
실상이 어떻든 기무사에 대한 이런 인식이 남아 있는 한 제2, 제3의 장경욱 사태는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남을 감시·감독하는 사람은 그 자신이 더욱 엄격한 도덕률로 무장해야 한다.
정용수 정치국제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