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타자들이 이를 놓칠 리 없다. 윤성환은 2회 3연타를 맞고 1-3 역전을 허용했다. 그럴 수 있다. 5회엔 김현수에게 큰 홈런을 맞았다. 여기까지도 그럴 수 있다. 1-4라면 장타력과 강한 불펜을 자랑하는 삼성이 후반에는 따라잡을 수 있는 스코어였다.
윤성환은 후속타자 최준석에게 좌전안타를 맞았다. 스트라이크존 한참 아래, 거의 바운드될 뻔한 공을 최준석이 퍼올렸는데 강한 라이너 타구가 돼 유격수를 훌쩍 넘었다. 윤성환 공의 힘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알 수 있는 장면이었다.
그런데 삼성 벤치는 더 기다렸다. 결국 추가 2점을 더 주면서 스코어는 1-6으로 벌어졌다. 3점 차였다면 한 차례 찬스로 동점 내지 역전까지 기대할 수 있지만 5점 차라면 두산이 느끼는 압박감은 상당히 줄어든다. 삼성 벤치가 윤성환을 너무 오래 마운드에 놔뒀다. 마치 전의를 상실한 채 두산에 1차전을 주는 것 같은 모양새가 되고 말았다.
두산 선발 노경은의 투구수가 초반에 꽤 많았다. 풀카운트 승부가 이어지며 경기 중반엔 문제가 될 것 같았다. 그러나 노경은은 위기를 잘 넘겼고 두산 타선이 일찌감치 점수를 뽑아주면서 페이스 조절을 할 수 있었다.
김진욱 두산 감독이 손시헌을 선발 유격수로 쓴 것이 주효했다. 두산은 주전과 백업의 차이가 거의 없다. 손시헌의 활약은 김재호의 공백을 전혀 느끼지 못하게 했다. 준PO부터 치른 두산의 체력 부담을 많이 걱정하지만 두산의 야수층은 충분히 두텁다.

김인식 <한국야구위원회 기술위원장>